[서울=뉴스핌] 이지민 기자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가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선점, 관련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UAM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대기업과 지분교환부터 컨소시엄 구성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짝짓기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통신3사 로고 이미지 [사진=뉴스핌 DB] |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 중 가장 먼저 UAM 사업에 관심을 보인 건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은 2019년부터 국내 통신사 중 최초로 국토교통부 주관의 UAM 민관협의체 원년 멤버로 참여해 UAM 사업화를 추진해왔다. 이후 2021년 1월엔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한국교통연구원과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을 결성하고 UAM 사업화를 위해 협업해오고 있다.
2021년 말엔 CEO 직속 UAM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본격적 연구와 투자 병행을 시작했으며, 지난 2월엔 조비에비에이션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지난 14일 K-UAM 드림팀은 제주특별자치도와 'UAM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제주공항과 주요 관광지를 잇는 시범운행 서비스를 위해 버티포트(이착륙장)와 UAM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KT는 지난 7일 이사회를 열어 현대차그룹과의 향후 협력에 대한 실행력과 연속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분 교환 안건을 승인했다. KT와 현대차그룹은 KT 자사주 약 7500억원(7.7%)을 현대차 약 4456억원(1.04%), 현대모비스 약 3003억원(1.46%) 규모의 자사주와 교환방식으로 상호 지분을 취득했다.
KT와 현대차그룹은 MECA(Mobility service, Electrification, Connectivity, Autonomous) 실현의 기반인 '커넥티비티(Connectivity)' 분야에서 차량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는 데 중점적으로 협력하기로 뜻을 함께 했다.
KT는 현대자동차,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 현대건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UAM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여기서 KT는 통신 인프라와 데이터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맡아 진행한다.
LG유플러스도 파블로항공, 카카오모빌리티, 제주항공, GS칼텍스, 버티컬 등과 함께 컨소시엄 형태로 UAM 실증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 LG유플러스는 최근 부산광역시와 부산 UAM 상용화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해당 협약엔 LG유플러스,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컨소시엄을 비롯 부산광역시, 해군작전사령부, 육군제53사단, 한국해양대학교, 부산시설공단, 부산테크노파크 등 총 13개 사업자·지자체·군·공공기관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각 기관과 참여사들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UAM의 조기 활성화와 시장 선점을 위해 부산지역 해양인프라를 활용한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여기에 정부 역시 '모빌리티 로드맵'을 발표하는 등 UAM과 같은 미래 모빌리티 구현에 관심을 보여 이통3사의 UAM 사업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UAM 드론 모습 [사진=국토부] |
국토교통부는 이날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고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 최초 상용화를 시작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교통 체증 없이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2025년 UAM 서비스 최초 상용화를 시작으로 교통 체증 걱정이 없는 항공 모빌리티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최초 서비스는 수도권 특정 노선으로 시내버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행한다. 정부는 서비스가 실현되면 수도권에서 서울 도심까지 통행시간이 48분에서 13분으로 7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30년에는 주요 권역별로 서비스를 활성화해 도심 내 버티포트를 중심으로 공항·철도역사·터미널간 이동이 용이해지도록 만든다는 방침이다.2035년엔 UAM과 자율차·개인형 이동수단(PM)·대중교통 등을 종합 연계하는 모빌리티 인프라인 미래형 환승센터(MaaS Station) 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또 발의된 UAM법 제정을 노력하고 실증·시범사업 시 항공안전·사업·보안 등 기존 법규 적용을 최대한 배제하는 특례도 적용한다. 더불어 내년 상반기까지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안전성 인증 체계를 마련하고, 사업자 요건과 운수권 배분, 보험제도 등을 2025년까지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선 모빌리티 로드맵 발표로 정책적 불투명성이 사라져 통신 사업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UAM 사업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모빌리티는통신과 문화가 결합될 수밖에 없는 분야인데 그랬을 때 가장 적합할 플레이어가 통신사"라며 "택시나 버스 등 기존 교통 수단은 기존 산업의 반발이 커서 대기업들이 적극 나서지 못한 측면이 있었지만, UAM은 기존 사업자가 없으니 통신과 결합하기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모빌리티 로드맵 발표로 (UAM 관련)불확실성을 해소해 줬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며 "첫 단추인 UAM 사업이 구체화돼 앞으로 이통3사의 모빌리티 전반에 대한 투자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한편 공공성을 가지는 모빌리티 사업 특성상 국가 차원에서 법·행정적 측면에서의 지원과 재원 분담이 요구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 교수는 "모빌리티 사업 특성상 공공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재원에 대해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논의와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며 "또 법 제도나 행정적 지원도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catch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