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전기차 이어 데이터센터·가정용 ESS 화재...시험대에 오른 K-배터리

기사등록 : 2022-11-02 14: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카카오 불통 사태 초래한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원인 지목
LG엔솔, 가정용 ESS 배터리 화재...美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리콜 명령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에 이어 국내 3위 사업자 SK온 배터리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수년간 배터리를 사용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부터 최근 3년간 UPS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36건으로 총 2억2200만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최근 '카카오 먹통' 사태를 가져온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의 발화 지점으로 SK온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지목됐다.

[성남=뉴스핌] 박승봉 기자 = 지난 15일 오후 3시33분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판교캠퍼스(SK주식회사 인터넷 데이터센터 판교캠퍼스) A동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는 지하 3층 무정전전원장치(UPS) 전기실 내 배터리 주변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시작된 것으로 1차 감식 결과가 나왔다. 2022.10.16 1141world@newspim.com

처음 불이 붙은 리튬이온 배터리는 데이터센터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거나 전력 공급이 불안정할 경우를 대비한 비상 전력 공급 시스템으로 일종의 ESS다.

전기차뿐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에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가 일단 발생하면 피해가 크다.

배터리 화재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건 배터리 '열폭주'다. 배터리팩이 손상되면 내부 온도가 순식간에 800℃까지 치솟으며 불이 번지는 현상으로 다른 배터리 셀도 연쇄 반응을 일으켜 가스 소화 설비 등으로 초기 화재 진압이 어려워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화재 당시 자동 탐지 설비는 정상 작동했고, 할로겐 가스 1500㎏이 분사됐지만 초기 진화에 실패했던 이유다. 불길이 잡히지 않자 현장 소방대원들은 연소 중인 배터리 모듈의 연결 전선을 해제하고, 물을 뿌려 연소물의 온도를 발화점 이하로 낮추는 방식으로 가연성 가스 생성을 억제해 불길을 잡았다. 진화 시간이 오래 걸릴뿐더러 막대한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ESS 사업장 전경. [사진=LG화학]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각각 2018년과 2019년 ESS 화재로 비슷한 논란을 겪은 바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가 5월 발표한 '제3차 ESS 화재 원인 조사단(이하 조사단)의 ESS 화재사고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발생한 ESS 화재 사고 4건 모두 배터리 문제가 원인으로 추정됐다. 화재가 발생한 ESS용 배터리는 ▲충북 음성 ▲경북 영천 ▲충남 홍성 ▲전남 해남 등에 위치하며 LG에너지솔루션 또는 삼성SDI의 배터리가 사용됐다.

이 외에도 삼성SDI는 지난해 BMW와 포드 등에 공급한 차량에서 배터리 결함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리콜을 시행했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당시 LG화학)은 제너럴모터스(GM)에 공급한 배터리 문제로 대규모 차량 리콜을 시행했다.

가정에서 쓰이는 배터리에서도 화재가 발생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는 작년부터 LG에너지솔루션(당시 LG화학) ESS용 배터리 리콜 명령을 내렸다. 리콜 대상은 주거용 ESS제품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화재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 지속되면 시장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전고체 배터리가 개발에 성공해도 높은 판가로 대중화에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 장치 강화 등 다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aa22@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