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종합] 한미일 정상, 北 도발 강력 규탄…'확장억제 강화' 공동성명 발표

기사등록 : 2022-11-13 20: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한미일 정상, 프놈펜서 회담 갖고 北 도발 우려 공유
尹대통령 "한미일 공조, 동북아 평화 강력한 보루"
공동성명 채택...北 미사일 정보공유 합의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한미일 정상이 수위를 높이고 있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연계를 강화하고 더 강력한 억제 태세를 갖출 것을 약속했다.

동남아를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오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오후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SNS] 2022.11.13 photo@newspim.com

◆ 3국 정상, 北 도발 우려 공유...尹 "한미일 공조는 동북아 평화 강력한 보루"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한미일 공조는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고 한반도의 동북아 평화, 안정을 이루기 위한 강력한 보루"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북한은 핵 미사일 자신감을 토대로 한층 더 적대적이고 공세적인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면서 "지난 5월 취임 이후로 북한이 50여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집중 발사됐고 그 중 하나는 우리 관할 수역에 착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단 이후 처음 있는 일로 매우 심각한 도발"이라며 "우리 국민이 슬픔에 빠져 있는 시기에 도발을 감행한 것은 김정은 정권의 반인도적, 반인륜적 성향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의 미사일과 핵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중요한 동맹국으로 협력을 강화해왔으며 다른 과제들에 대해서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우리는 공급망 강화와 경제 회복력 강화,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과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태 지역에 대해서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고 있고 추가 도발도 예상된다"면서 "오늘 한미일 정상회담이 개최된 것은 시의적절하다. 한미일 연계를 더 강화해 의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대통령실] 2022.09.22 photo@newspim.com

◆ 한미일 공동성명...北 미사일 정보공유, 경제안보대화체 신설 등

이날 회의는 약 15분 간 진행된 후 종료됐으며 각국 정상들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한미일 정상 간 포괄적 성격의 공동성명이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미일 정상은 북한의 지속적인 군사행동과 다수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전례 없는 도발을 강력 규탄했다. 또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협상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우리 정부의 '담대한 구상' 목표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한편 납치자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공동 의지를 재확인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확장억제 강화 공약은 강력해질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또 억제, 평화 및 안정을 위한 진전으로서 북한의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3국 간 경제안보대화체를 신설하고 인도-태평양 및 전세계의 경제 안보 및 번영을 증진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한미일 정상은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에 지속 맞춰 나가면서 아세안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아울러 태평양도서국에 대한 공약을 재확인하고 주요 우려사항에 대응하기로 약속했다.

oneway@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