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일단 토목에서 시작해 전산업 연관효과로 경제성장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과 함께 추진되는 한-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위기가 예고되는 한국경제에 돌파구가 될 수 있어서다. 물론 산업 협력 추진 과정에서의 국익도 촘촘하게 따져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 토목에서 시작돼 그린테크놀로지까지 연결되는 사우디 '구상'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고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해 2017년 석유 중심의 경제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국가 장기 프로젝트인 사우디비전 2030을 발표했다. 핵심은 초대형 신도시 사업인 네옴시티다.
네옴시티는 그린수소를 비롯해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를 기반으로 인프라를 갖출 뿐더러 로봇이 물류와 보안, 가사노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친환경 스마트 신도시로 알려진다.
사우디 북서부 타북주 일대에 들어설 예정이며 서울시의 약 44배 규모에 달한다. 발표 당시 기준으로 총 사업비는 5000억달러(약 650조원) 수준이다.
첨단산업도시인 '옥사곤', 친환경 관광도시 '트로제나', 유전자변형작물 경작지, 국제공항 등이 네옴시티 건설에 포함돼 오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두고 있다.
그야말로 사우디가 오일머니로 구축한 자금력으로 탈석유 신도시 개발도 전환하려는 것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칼리드 팔리흐 사우디 투자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알이브라힘 사우디아라비아 경제기획부 장관과 참석자들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2 한-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11.17 pangbin@newspim.com |
우리나라 역시 기대가 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사우디 투자부는 17일 오전 8시 30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한-사우디 투자 포럼'을 열었다.
이번 투자 포럼에서는 단일 외국인투자로는 최대 규모인 에스오일(S-Oil) 2단계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에스오일과 국내 건설사 간 설계·조달·시공(EPC) 계약, 현대로템과 사우디 투자부 간 네옴(Neom) 신도시 철도 협력, 키디야(Qiddiya), 홍해(Red Sea) 지역 미래도시 건설에 최첨단 3D 모듈러 공법 적용 협력, 국내 5개 건설사와 사우디 국부펀드(PIF) 간 그린 수소 등 신에너지 협력 등 20여개의 계약 또는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그동안 중동시장은 우리나라의 글로벌 투자 및 통상 산업에서 우선순위에 놓이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투자 포럼을 계기로 중동과 사우디에 대한 새로운 경제 체계 마련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질적으로 구체적인 사업이 추진되면 곧바로 토목 분야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 건설에 앞서 부지 정비, 통신, 상하수도 등이 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후부터는 건설의 시대에 들어선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토목 단계에서는 기초적인 인프라를 조성하기 때문에 중장비, 전문인력 등이 요구된다"며 "실질적인 건설이 시작될 때부터 수요가 폭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측면에서 봐도 건설 산업을 통한 효과는 크다. 17일 한국은행이 제공하는 산업연관표를 보면, 건설분야는 2015년 2.05, 2016년 1.98, 2017년 1.97, 2018년 1.95, 2019년 1.95 등으로 같은 시기 다른 산업에 비해 생산유발계수가 높았다.
건설을 토대로 삼아 우리나라 산업에도 새로운 호황기를 안겨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는 "사우디의 관심은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생산(제조)으로의 확대"라며 "이를 토대로 정주시설과 복합적으로 여녈돼 도시 인구를 늘려가는 게 사우디의 큰 목표"라고 분석했다.
이 이사는 "토목만 보더라도 단기적으로는 경상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경제 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을 제공해줄 수 있다"며 "건설의 산업연관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에 이후부터는 소비재는 물론 IT서비스, 태양광 등 그린테크놀로지 등 각종 산업이 모두 효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새로운 '중동의 봄'…산업·금융·외교 '디테일 전략' 절실
이번 투자 협력으로 우리나라가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경제와의 협력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바라본다.
탈석유 경제를 꿈꾸는 사우디와 ICT 첨단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상호 절실한 분야에서 맞닿아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 우선 사우디가 열어놓은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경쟁력있는 폴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는 조언이 이어진다.
향후 건설될 네옴시티 모습 [자료=네옴시티 홈페이지] 2022.11.17 biggerthanseoul@newspim.com |
사우디는 네옴시티를 통해 압축적으로 신도시를 건설하겠다는 비전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걸맞게 우리나라 역시 신선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느냐에 따라 향후 계약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수익성 관리도 중요한 요점으로 부각된다. 장기 투자 개념으로 '턴키방식'으로 추진돼 초기 운영 뒤 이관하는 사업이 상당한 만큼 손익분기점을 충분히 따진 사업 추진이 요구된다는 얘기다.
최근 고금리 상황에서 채권 발행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정부와 민간과의 협업이 어떻게 추진될 지 역시 이후 사업의 추진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도 예상되고 있다.
또 코로나19 상황이 종결되지 않은 가운데 현지에서의 인력 운영 등의 문제도 극복해야 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사우디에서 인력을 얻기보다는 주변국인 터키 등 국가에서 인력을 얻어와야 한다"면서 "글로벌 환경에서의 인력 관리 등도 충분히 살펴봐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전략물자를 이송하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들린다. 토목, 건설 분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제조업 등 전반에 걸쳐있는 사안이어서 각종 변수에 대한 대응도 병행돼야 한다는 얘기다.
미국과의 관계 속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갈등 역시 현명하게 풀어나가야 한다는 점도 과제다.
구자현 한국개발연구원 산업·시장정책연구부장은 "이번을 계기로 중동시장에 대한 국가전략이 필요하다"며 "단순히 사우디가 메뉴를 펼쳐놓고서 우리가 무엇을 수주할지를 고민할 것이 아니라 사우디와 그림을 같이 그려나가야 하고 사우디 입장에서 더 필요한 것을 제안할 수도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