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2보] 북한 동해상으로 ICBM 1발 발사…'한미일 군사협력 반발' 이틀 연속 도발

기사등록 : 2022-11-18 11:5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합참 "북한, 10시 15분께 평양 순안서 발사
11월 3일 ICBM 이어 15일 만에 對美 겨냥
올해 들어서만 8차례 ICBM 도발 이어가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합동참모본부는 18일 "북한이 오전 10시 15분께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우리 군은 감시 와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히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이 쏜 장거리 탄도미사일의 세부 제원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북한 노동신문이 2022년 3월 25일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노동신문]

북한은 하루 전인 17일 오전에도 최선희 외무상이 한미일 정상의 북한 도발에 대응한 확장 억제 제공 강화와 한미일 군사협력 확대에 대한 비난 담화 직후 'KN-25'로 추정되는 초대형 방사포를 발사했다.

방사포 발사 하루 만에 미국을 겨냥한 ICBM 도발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ICBM을 발사한 것은 지난 11월 3일 한미 연합 대규모 '비질런트 스톰' 훈련에 반발해 발사한 지 15일 만이다.

특히 최 외무상은 전날 담화에서 "미국의 확장 억제력 제공 강화와 날로 분주해지는 조선반도 주변에서의 연합군의 군사 활동들은 미국과 동맹국들에 보다 큰 불안정을 불러오는 우매한 짓"이라면서 "미국은 반드시 후회하게 될 도박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하기도 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중을 대변해온 최선희 외무상 이름으로 북한이 미국의 확장억제력 제공 강화와 한미일 군사협력 확대에 대해 강대강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향후 한반도 정세가 갈수록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정 센터장은 "북한은 앞으로 미국의 확장억제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태평양을 향해 중장거리 미사일을 정상각도로 계속 시험 발사하거나 정찰위성 등을 발사함으로써 미일과의 긴장를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관측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3월 25일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장면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사진=노동신문]

한미는 전날 오전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기 수시간 전에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추적할 수 있는 한미 이지스구축함을 비롯한 통합된 탐지 자산들이 참가하는 한미 연합 미사일 방어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올해 들어 신형 ICBM과 준장거리,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신형 전술유도무기, 순항미사일, 초대형 방사포 등을 동원해 이번까지 무려 38차례에 걸친 도발과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5월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23차례 무력시위를 벌이고 있다.

군 당국 발표에 따르면 북한은 올해 들어 이번까지 8차례 ICBM을 발사했다. 지난 2월 27일과 3월 5일 ICBM을 발사하면서 북한은 '정찰위성 시험 용도'라고 주장했다. 우리 군 당국과 전문가들은 신형 ICBM '화성-17형' 시험비행으로 평가했다.

또 북한은 3월 16일에 화성-17형 추정 ICBM을 발사했다. 이어 3월 24일에도 화성-17형이라 주장하는 ICBM을 시험 발사했다. 5월 4일과 25일에도 ICBM을 발사했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 11월 3일 오전 7시 40분께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비행거리 760km, 고도 1920km, 속도 마하 15로 탐지된 ICBM 추정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고각 발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kjw8619@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