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3년 가까이 지속된 중국의 엄격한 '제로 코로나' 방역 규제가 언제 해제될지 묘연하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당장 봉쇄 정책을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낮은 고령층 백신 접종 완료율과 품질이 떨어지는 자국산 백신에 대한 고집이라고 말한다.
3년 가까이 지속된 봉쇄로 자연면역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인데다가 60세 이상 전체 인구 약 2억6700만명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최소 8900만명이 3차 백신 접종인 부스터샷을 맞지 않았다. 감염 고위험군인 80세 이상의 백신 접종 완료율은 40%에 불과하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홍우리 기자 = 3월 22일 네이멍구(內蒙古) 후허하오터(呼和浩特)시 주민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
섣불리 방역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가 중환자가 늘면 큰일이다. 시장조사전문기관 블룸버그인텔리전스는 중국이 방역 규제를 완화하면 약 580만명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현재 운용이 가능한 집중치료 병상은 인구 10만명당 4개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도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하루 100명 이상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중환자실 병상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궈옌훙(郭燕紅) 위건위 의정의관(醫政醫管·의료 및 병원행정)국 감찰관은 "현재 인구 1000명당 병상수는 6.7개이며, 인구 10만명당 집중치료 병상은 4개 미만"이라고 알렸다.
중국 정부가 예방효과도 낮고 면역 감소도 빠른 자국산 백신 접종만 고집하는 것도 문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긴급사용승인을 발표하며 밝힌 임상시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시노백의 '코로나백'(CoronaVac) 백신의 유증상 감염 예방효과는 51%, 시노팜은 79%로 나타났다. 신기술인 메신저리보핵산(mRNA)을 활용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당시 효능이 90% 이상이었던 것과 대비된다.
이후 칠레 정부의 접종 초기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중국 백신의 예방효능 지속 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WHO는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반드시 3차 접종을 해야하며, 3차 백신은 다른 백신으로 맞을 것을 권장했다. 여기에 최근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변이들 출현에 화이자·모더나는 개량백신까지 출시한 상황이다.
의학전문지 네이처는 "중국산 백신을 수입한 일부 국가에서는 3차 접종을 다른 백신으로 하고 있다"며 "대체할 좋은 옵션들이 있는데 중국산 백신을 계속해서 접종할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 美 "고령층 접종 늘려야" "우리 백신 쓰라니까" 압박
중국에서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 항의 시위가 들불처럼 전역으로 확산, 이것이 시진핑(習近平) 정권 3기에 큰 정치적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을 잘 아는 미국이 약점을 파고들고 있다.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이끈 조 바이든 대통령의 최고 의학고문인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28일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이 공중 보건 이치에 맞지 않다고 일갈했다.
캐서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과 함께 언론 브리핑하는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소장. 2022.11.22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는 사람들을 집에 가둬두는 봉쇄 정책만으로는 "엔드게임(end game·종반전)이 될 수 없다"면서 고령층 백신 접종이 최대 현안이지만 "중국이 자체 개발한 백신도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날 ABC방송과 인터뷰한 아시시 자 백악관 코로나19 TF 조정관도 "제로 코로나 전략은 비현실적"이라며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전략을 택하길 권한다"고 발언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심지어 "우리는 중국에 미국산 mRNA 백신을 제안했지만 중국이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는 중국이 효과적으로 팬데믹에 대응하는 것을 보고 싶다. 이는 그들 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위한 일"이라며 "우리는 확실히 (mRNA 백신) 지원에 나설 준비가 돼있다"고 말한 바 있다.
중국에서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을 사용할 뿐 아직 상용화 된 mRNA 백신이 없다. 중국은 자국산 mRNA 백신 후보물질 6종을 개발 중이지만 언제 승인을 받아 사용될지는 미지수다.
중국산 백신 효능이 의문이라고 지적한 국가는 또 있다. 독일의 슈테펜 자이베르트 정부 대변인은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럽과 독일은 mRNA 백신을 접종해 매우 좋은 경험을 했다"며 올라프 숄츠 총리가 약 3주 전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시 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에게 서방의 mRNA 백신을 사용할 것을 "명확히 했다"고 전했다.
◆ 中시장 뚫으려는 모더나·화이자...기술이전 요구에 좌절
미국과 독일이 중국에 mRNA 백신을 거듭 추천하는 것은 사실상 '세일즈 외교'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미국 기업이며, 화이자와 공동으로 백신을 개발한 생명 공학 기업 바이오엔텍은 독일 회사다.
중국은 그야말로 mRNA 백신 '블루오션'(Blue Ocean·경쟁자 없는 유망한 시장)이다. 중국에서 백신 접종을 완료한 18~50대 인구가 많지만 모두 자국산 바이러스 벡터 백신을 맞았기 때문에 부스터샷용 mRNA 백신 수요가 막대할 수 밖에 없다.
화이자(좌)와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바이알 병. 2021.03.04 [사진=로이터 뉴스핌] |
모더나의 올해와 내년 백신 매출 전망치는 처참한 수준이다. 회사가 지난 3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연간 백신 매출은 180억~190억달러로 종전 전망치 210억달러에서 하향조정했다. 수요 급감은 내년에 더 심각해져 연 매출이 45억~55억달러으로 3분의 1 토막이 날 지경이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 95억달러에도 한참 못미친다.
최근 백신 수요 급감으로 매출 타격을 받는 모더나와 화이자에 있어 중국은 군침이 도는 시장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스테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9월 중순 중국 정부와 백신 공급 계약을 협상 중이라는 소식을 전했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달 2일 소식통들을 인용, 협상이 좌절된 배경은 중국 정부의 무리한 요구 때문이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시장 문을 열어주는 대가로 mRNA 백신 제조의 핵심 기술을 중국 업체로 이전해 합작으로 현지에서 제조·공급할 것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결국 모더나는 상업적 피해와 특허 등 지식재산권 안전 우려에 중국 측 요구를 거절해야 했다. 그러나 지난 2020년부터 중국 시장 진출을 타진해온 모더나는 여전히 "간절하다"는 전언이다.
화이자도 중국 정부와 공급 계약 협상을 했다는 소식은 없지만 독일 정부 대변인은 "바이오엔텍이 중국 파트너들과 코로나19 백신을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28일 전했다.
숄츠 총리의 방중에 이어 정부 차원의 화이자/바이오엔텍 백신 대(對)중 시장 진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발언이다.
글로벌 양대 코로나19 백신 제조사들이 시장 문을 두드리지만 중국은 끝까지 문을 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컨설팅 업체 트리비움의 신란 앤디 천 연구원은 " 조금 나은 백신이라고 해서 효능이 100%가 아닌데 (자국산 백신 접종에 의한) 국민적 자부심에 비하면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