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2-05 16:12
[광주 전남=뉴스핌] 오정근 전경훈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돌입한 무기한 총파업이 12일째 이어지면서 광주·전남 제조업체 공장 등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어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5일 국토부와 여수광양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광양항 장치율(컨테이너를 쌓아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은 이날 오전 기준 66.8%로, 평상시(60∼65%)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철강제품 20만 4000t이 내부에 적체돼 반출되지 못하고 있고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LG화학과 GS칼텍스도 파업 여파로 물량이 반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이후 전남 지역 시멘트 출하량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업무개시명령 이전과 비교해 51% 회복됐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주장하며 지난달 24일부터 총파업을 벌이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 2020년 화물차 기사에게 최소한 적정 운송료를 보장해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며 3년 한시로 도입한 제도다.
윤석열 대통령은 화물연대 집단 운송 거부 사태를 "북한의 핵위협과 마찬가지"라며 "불법행위와 폭력에 굴복하면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광주·전남본부는 이날 결의대회를 열고 "화물운송 노동자들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는 남의 일이 아니다"며 "대형 화물차는 사고 시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질 위험이 큰데 노동자들이 언제까지 운에 목숨을 맡기며 무고한 희생자를 봐야하냐"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보호 장치도 마련되지 않은 죽음의 일터로 되돌아 갈 수 없다"며 "불법인 과적을 강요하고 업무 개시 명령을 내리는 정권과 자본에 맞서 생존권 사수를 위해 싸울 것이다"고 밝혔다.
kh108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