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2-19 06:52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은 18일 서해 동창리 시험장에서 이뤄진 것으로 한미 정보 당국이 파악한 미사일 발사체 도발과 관련해, 정찰 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이라고 주장했다.
또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 위성 1호기 준비를 마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중앙통신은 "시험은 20m 분해능 시험용 전색 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다스펙트럼) 촬영기 2대, 영상 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들, 조종 장치와 축전지 등을 설치한 위성 시험품을 운반체에 탑재하여 고도 500km까지 고각 발사시킨 후 우주 환경을 모의한 최적한 환경에서 각종 촬영 장비에 대한 촬영 조종 지령과 자세 조종 지령을 비롯한 지상관제의 믿음성을 확증하면서 자료 전송 장치들의 처리 능력과 안전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전했다.
통신은 이어 "시험을 통하여 우주환경 조건에서의 촬영기 운용 기술과 통신 장치들의 자료처리 및 전송 능력, 지상 관제 체계의 추적 및 조종 정확성을 비롯한 중요 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한데 대하여 국가우주개발국은 중요한 성과이자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 관문 공정을 거친 것이라고 국가우주개발국은 밝혔다"고 소개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시험 현장을 참관했는지는 밝히지 않고 "시험결과는 즉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에 보고됐다"고 강조했다. 김정은은 중앙군사위원장이다.
김 위원장은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11주기 참배 행사에 이례적으로 참석하지 않아 미사일 발사 참관을 위한 불참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합동참모본부는 18일 북한의 발사체 도발과 관련해 "오전 11시 13분경부터 12시 05분경까지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2발을 포착했다"며 고각 발사 사실 등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도발은 지난달 1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시험발사한 지 꼭 한달 만이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