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국내 행동주의펀드들이 새해에도 광폭 행보를 이어갈 전망이다. 상장회사에 '기업가치 제고'를 앞세워 지배구조 개선 및 배당 확대 등을 요구하는가 하면, '경영 참여'를 목표로 지분을 사들이고 본격적인 경영 참여를 알린 사례도 있다. 행동주의펀드들은 동학개미운동 이후 소액주주들의 관심에 힘입어 매년 활동 영역을 확장하는 추세다.
◆ 얼라인파트너스, SM 이어 7대 금융지주 저격
지난해 'SM 저격수'로 주목받은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은 새해 벽두부터 KB·신한·하나·우리·JB·BNK·DGB금융지주 등 총 7개 금융지주 상장사에 공개주주서한을 발송하며 주주행동주의를 개시했다.
얼라인파트너스는 이들 지주사에 내달 9일까지 주주환원 정책을 도입해 공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응답이 없거나 주주들이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의 답변을 할 경우 다가오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환원에 대한 주주제안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공개서한이 국내 은행주의 만성적인 저평가 문제 해소에 기여할지 주목된다. 얼라인파트너스는 국내 은행주의 저평가 핵심원인이 비효율적인 자본배치정책과 가시성 낮은 주주환원정책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대표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주주환원 합리화와 함께 그간 과도했던 대출자산 규모 성장 경쟁을 완화시켜 대한민국 금융시스템 전반의 과도한 레버리지 문제 해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얼라인파트너스는 에스엠을 상대로 공개 주주 캠페인을 시작했다. 지난해 '일감 몰아주기' 의혹이 있던 이수만 총괄프로듀서 개인회사 라이크기획과 에스엠의 프로듀싱 계약을 조기 종료시키며 눈도장을 찍었다.
올해도 에스엠과 '2라운드'를 앞두고 있다. 얼라인파트너스는 지난해 말 에스엠에 비공개 주주서한을 보내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요구 사항을 제시한 상태다.
이 대표는 최근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오는 13일까지 에스엠에 공식 회신을 요청했다"며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지만 눈높이에 맞지 않은 답변이 나오면 주총 표 대결로 가거나, 지금보다 좀 더 강력한 활동도 가능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대표. 2022.12.27 pangbin@newspim.com |
◆ '경영 참여' 목적 지분 확대...트러스톤·KCGI, 발톱 세운다
상장사를 상대로 '경영 참여' 선전포고를 날린 행동주의펀드들의 다음 행보에도 관심이 모인다. 지난해 12월에만 KCGI, 트러스턴자산운용 두 곳이 각각 오스템임플란트, 태광산업을 상대로 경영 참여 의지를 드러냈다.
KCGI는 지난달 21일 오스템임플란트 지분을 5.58%까지 끌어올리며 보유 목적을 '경영권 영향'으로 못 박았다. 해당 지분은 강성부 대표가 최대 출자자인 KCGI한국지배구조개선사모투자 합자회사의 100% 출자 유한회사 에프리컷홀딩스를 통해 마련됐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해 2000억원대 직원 횡령 사건이 발생한 상장사다. 이에 미흡한 내부통제 기능을 지적받고 경영 투명성을 개선할 것을 요구 받아온 상황이다. KCGI는 다가올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가치제고 및 내부 혁신 등을 요구하며 본격적인 주주제안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태광산업의 2대주주(지분율 5.8%)인 트러스톤자산운용도 지난달 16일 투자목적을 '경영 참여'로 변경했다. 트러스톤 측은 "태광산업이 주주 이익을 최우선으로 독립적 의사결정을 하는지 의구심이 있다"며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주주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러스톤은 BYC에 대해서도 재작년 12월부터 '경영 참여' 목적 주주활동을 본격화해왔다. 트러스톤 관계자는 전화 인터뷰에서 "상장사라면 소액주주들도 고려해야 하는데 개인들이 직접 (주주환원책을) 요구하기는 쉽지 않다"며 "오래 전부터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주주행동주의에 임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동안 행동주의펀드를 필두로 한 주주행동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헤지펀드 업계 관계자는 "행동주의펀드 활동은 이전부터 있었지만 눈에 잘 띄지는 않았다"며 "팬데믹 이후 소액주주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상장사들도 행동주의펀드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최근 ESG 바람이 불며 행동주의펀드를 보는 시선도 많이 달라졌다"며 "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국내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미약하다. 앞으로 행동주의펀드들이 영토를 넓힐 기회는 더 많다고 본다"고 말했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