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주택경기 침체로 올해 분양사업 리스크가 확산하자 대형 건설사들이 주택사업에 매진하기보단 신사업 발굴과 내실 경영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주택매수 심리가 악화해 전국적으로 미분양 확산세가 가팔라졌다.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라도 분양가, 입지 등의 경쟁력이 떨어지면 수요자로부터 외면받는 사례가 상당수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건설업과 연계된 친환경, 소형모듈원전(SMR) 등 신사업의 역량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공사현장의 안전과 원가율 관리로 수익성 위주의 경영 전략을 펼쳐나갈 것으로 보인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며 대형 건설사들은 올해 주택사업을 확대하기보단 신사업 발굴과 수익성 관리에 심혈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 주택경기 악화로 사업다각화 불가피...실적 개선 '미지수'
대형 건설사들이 주택사업 비중을 줄이고 신사업을 모색하는 이유는 올해 분양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물론 주택경기가 사이클 사업이란 점에서 사업 다각화의 필요성도 부각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올해 분양물량은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303개 단지에서 총 25만8003가구를 분양한다. 예측 물량을 기준으로 2014년(20만5327가구) 이후 가장 적은 수치이자 지난해(41만6142가구)에 비해서는 38%나 줄었다.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하고 미분양 증가 속도가 가파르면 건설사들이 분양일정을 미룰 수밖에 없어 실제 공급물량은 더 줄어들 여지가 있다.
최근 분양시장에서는 대형 건설사라도 '완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분양 관련한 각종 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작년 전국의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7.7대 1로 전년(19.8대 1)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미분양 아파트도 작년 11월 말 5만8027가구로 전월보다 22.9%(1만810가구) 늘었다. 2018년 12월 5만9000가구를 기록한 이후 4년여 만에 최대치다. 1월 2만가구를 넘어선 미분양 아파트는 7월 3만가구를 돌파했고 9월에는 4만가구를 넘을 정도로 증가세가 가파르다.
◆ 대형건설사, 소형모듈원전·UAM 등 새로운 '먹거리' 선점 경쟁 치열
특히 소형모듈원전(SMR)과 도심항공교통수단(UAM) 사업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모빌리티 발전 등과 발맞춰 이들 분야는 다가올 미래 사업으로 꼽힌다. 당장 수익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미래 경쟁력 확보와 먹거리 창출을 위해서는 선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발표한 한국형 버티포트 컨셉디자인 이미지.<자료=현대건설> |
SMR은 기존의 대형 원자력 발전소와 달리 배관 없이 주요기기를 하나의 용기 안에 배치한 일체형으로 일반적으로 300MW급 이하인 중·소형원자로를 말한다. 대형 원전의 약 150분의 1 크기다. 국내에서는 'SMART'라는 SMR 모델을 지난 1997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2012년 7월 세계최초로 표준설계인가를 받았다. SMR은 특성상 원자로 냉각제 배관 파손으로 인한 방사능 유출 가능성이 없어 일반 원전대비 안전성이 높다. 발전용수가 적게 들어 해안이 아닌 내륙에도 건설할 수 있으며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건설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대형 건설사들이 대거 도전장을 내민 상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SMR 분야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작년 세계 1위 SMR 기업인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손잡고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2021년부터 총 7000만달러(한화 약 875억원) 규모 지분 투자를 통해 기술력을 공유하고 있다. 올해도 미국, 루마니아 등 여러 나라에서 SMR 참여를 모색하고 있다.
국내외 한국형 대형 원전 34기 중 22기 시공 실적을 보유한 현대건설도 원자력 사업에 관심이 많다. 작년 원자력 사업 최고 기업 중 하나인 미국 웨스팅하우스사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고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형 대형 원전 사업의 글로벌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차세대 원전사업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SMR 분야에 동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체코 원전 사업'에 팀 코리아의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글로벌 원전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다. DL이앤씨는 캐나다 테레스트리얼 에너지와 '소형모듈원전 개발 관련한 업무협약은 맺고 SMR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정부도 SMR 분야를 차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신한울 1호기 준공 기념행사에 참석해 "원전 산업을 우리 수출을 이끌어 가는 버팀목으로 만들고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원전 강국으로 위상을 다시금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SMR 개발에 총 4000억원을 투자해 미래 원전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영국국립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원전 기술에서 친환경, 안전성에 관심이 높아지며 SMR의 시장규모가 2035년에는 최대 63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늘을 나는 택시'로 불리는 도심항공교통수단(UAM) 사업은 경쟁이 더 치열하다. 상용화 시기가 2025년으로 그리 멀지 않은 데다 건설업에 파생된 사업이 많아 건설사의 참여 열기가 뜨겁다. 특히 지난 문재인 정부가 자율주행차 사업에 촛점을 맞춘 것과 대비해 현 정부가 중점 추진하는 미래 교통 분야가 바로 UAM이라서다.
UAM은 항공기를 활용해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도시교통체계를 말한다. 수직이착륙(VTOL)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 에어 택시, 대중교통 서비스 등도 포함된다. 건설사가 참여하는 사업은 UAM 이착륙장 '버티포트' 구축이 주력이다. UAM 사업의 필수 시설일 뿐 아니라 향후 건축물, 상업시설, 아파트 등과 연계한 사업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2040년 세계 UAM 시장규모는 21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건설은 국토부에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에 참여하는 제안서 제출했다. 대우건설과 함께 꾸린 컨소시엄엔 항공 솔루션 회사인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무인항공기 회사인 아스트로엑스 등이 참여했다.
GS건설은 그룹사인 GS칼텍스, LG유플러스,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제주항공 등 13개 기관과 함께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했다. 오는 2026년 부산시 UAM 상용화 위한 실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그룹사인 롯데렌탈과 롯데정보통신 등과 '롯데 UAM 컨소시엄'을 구성해 버티포트 구축 및 시공기술 확보에 나선 상태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완화로 시장 분위기가 다소 살아나고 있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많이 늘어 공격적인 분양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올해 당장 성과를 내긴 어렵더라도 신사업 투자와 내실 경영이 건설업계의 최대 화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