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와 카카오가 한국어에 특화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킬러 서비스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대화 전문 AI 서비스 '챗GPT'를 앞세워 검색엔진 시장의 혁명을 예고하면서 국내 시장을 사수하기 위한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15일 카카오의 관계사 카카오브레인은 이달 7일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 학회 'AAAI'에서 초거대 AI를 활용해 움직이는 모션을 생성할 수 있는 텍스트 기반 모션 생성 모델인 '플레임(FLAME)'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플레임은 원하는 동작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그에 맞는 모션을 생성하고 취향에 따라 모션 수정이 가능한 게 특징으로, 게임·애니메이션·영화 등의 제작 과정에 도입되면 효율성을 크게 증진할 수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카카오브레인이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 학회 'AAAI'에서 공개한 텍스트 기반 모션 생성 모델인 '플레임(FLAME)'. [사진=카카오브레인] |
플레임 공개는 챗GPT가 카카오의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는 홍은택 카카오 대표의 언급이 나온 지 나흘 만에 이진 것이라 관심이 쏠린다.
앞서 홍은택 대표는 이달 10일 열린 연간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카카오는 핵심 사업의 강화뿐만 아니라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기 위해 AI와 헬스케어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며 "챗GPT와 같은 초거대 AI 모델의 등장은 카카오에게는 기회이자 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 "카카오는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보다는 카카오브레인이 가지고 있는 한국어 특화 AI 모델인 KoGPT를 활용해 회사가 잘 할 수 있는 날카로운 버티컬 AI 서비스에 집중하고자 한다"며 "아이디어 차원에서 챗방에서 AI가 개화된 비서 역할을 해주거나 카카오톡 채널에서 소상공인들을 대신해 광고 카피를 쓰는 형태를 고려하고 있고, 기술적으로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들을 빠르게 출시하겠다"고 AI 사업 전략을 소개한 바 있다.
KoGPT는 카카오브레인이 2017년부터 오픈에이아이의 GPT-3를 모델로 구글의 텐서플로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언어 모델이다. 이는 1750억 개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가진 GPT-3 대비 학습 매개변수는 적지만, 2000억 개 토큰(자연어 처리 단위)의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해 한국어에 특화된 성능을 갖췄다. 이에 카카오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KoGPT를 상품 광고나 쇼핑몰, 배달앱, 의료진단, 비서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서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와 큰 격차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생성형 AI 기술을 검색 서비스와 접목한 '서치GPT'를 올해 상반기 중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사진=NAVER AI NOW 키노트 캡처] |
네이버의 생성형 AI 기술인 '하이퍼클로바'는 GPT-3보다 많은 2040억 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해 더욱 고도화된 AI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것은 물론 5500억 개 토큰의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해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가 따라올 수 없는 한국어 특화 서비스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네이버는 2021년 5월 네이버 검색엔진으로부터 보유한 한국어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하이퍼클로바를 개발하고, 이후 클로바노트, 클로바 MD, 지식인터랙티브, 키워드 리뷰, 클로바 스튜디오 등 다양한 서비스에 이를 적용해 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와 관련해 "네이버는 한국어로는 가장 고품질의 검색 데이터를 가장 많이 보유한 사업자일 뿐 아니라 거대 AI 모델로는 세계 정상급 기술을 자부하는 한국 최고의 검색·AI 기술 회사"라며 "생성형 AI의 단점으로 꼽히는 신뢰성과 최신성 부족, 해외 업체의 영어 기반 개발 모델을 한국어로 번역함으로써 발생하는 정확성 저하를 풍부한 사용자 데이터와 기술·노하우로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친 바 있다.
인터넷 서비스 업계 역시 카카오톡 서비스와 네이버 검색 서비스가 국내 시장에서 만큼은 글로벌 기업이 진입하기 어려운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양사가 지속적인 우위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배재경 업스테이지 리더는 이와 관련해 "챗GPT와 결합된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은 일반 검색 결과를 챗봇과 같이 보여주는 방식인데 챗봇을 이용해 사용자를 더 많이 끌어들일 뿐 수익 모델은 기존 검색광고 방식을 그대로 가져가 큰 틀에서 기존 검색 광고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것 같다"며 "(이에) 구글이나 국내 검색 포털도 유사한 방식을 취하지 않을까 예상되며 산업 전체가 재편되기 보다는 기존에 잘하던 (구글, 네이버 등) 업체들이 여전히 잘하게 될 확률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