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이스타항공이 이달 말부터 제주노선을 시작으로 운항 재개에 나서면서 저비용항공사(LCC)들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파산 위기에 몰렸다 기사회생한 이스타항공은 기존에 갖고 있던 국제선 운수권과 슬롯(특정 시간대 이착륙할 수 있는 권리)이 살아 있어 현지 지상조업 등 영업망을 갖추면 곧바로 국제선 운항이 가능해다. 이스타항공 정상화가 본격화하면 운항 중인 국적 항공사가 역대로 가장 많아져 치킨게임이 재현될 거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스타항공 본사. 2020.07.14 mironj19@newspim.com |
◆ 국제선 운수권·슬롯 유지…하계기간 내 국제선 신청할 듯
8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이 3년만에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다.
이스타항공은 코로나 이전에 갖고 있던 운수권과 슬롯을 모두 유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2020년 3월부터 이스타항공을 포함한 항공사의 운수권과 슬롯 회수를 유예했다"며 "슬롯은 유예 조건이었던 조기반납 절차를 지켰으면 기존 슬롯을 유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토부는 항공사에 배분된 슬롯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사전 반납을 요구해왔다. 항공기를 띄울 여력이 있는 다른 항공사에 슬롯을 임시 배분하기 위해서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쓰지 않는 슬롯은 반납을 진행해왔다"고 말했다.
이스타항공은 기존 운수권과 슬롯을 이용할 수 있지만 국제선을 당장 띄울 여력이 없다는 게 문제다. 우선 이달 말 김포~제주 노선을 띄우기 위해 국토부에 운항계획을 신고해 심사를 받고 있다. 국제선 운항은 아직 신청하지 않았다.
운수권과 슬롯이 있어도 국제선을 띄우기 위해 운항조건을 갖췄는지 국토부로부터 점검을 받아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스타항공은 지난달 말 국제, 국내 운항증명(AOC)을 모두 갱신받았지만 이와 별개로 특정 노선 운항을 처음 시작하려면 추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며 "현지 운항을 위해 지점이나 지상조업, 지원인력, 정비인력 등을 갖췄는지 추가 안전성 검사를 받게 된다"고 말했다.
다만 이스타항공은 해외 여건을 갖추는대로 국제선 운항이 가능해진다. 국토부는 작년 6월부터 추진된 국제선 조기 정상화의 일환으로 항공사들로부터 운항계획을 수시로 받아 증편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3~10월 동계기간 내에도 국제선 증편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일본 도쿄, 삿포로와 동남아 등 인기 노선의 운수권과 슬롯을 갖고 있는 이스타항공은 국제선 정상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보유 중인 보잉 737-800 3대 외에 추가 기체를 도입해 운항편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 운항 국적사 11곳 '역대 최대'…신규항공사 내주고 구조조정, 치킨게임 본격화
이스타항공이 본격적으로 운항 재개에 나서면 여객기를 띄우는 국적사는 11개에 이른다. 역대로 가장 많은 국적항공사가 운항하게 되는 것이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만 해도 대한항공 등 대형항공사(FSC) 2곳과 LCC 7곳을 비롯해 9사 체제였다.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등 신생 LCC는 항공당국으로부터 2019년 신규면허를 발급받은 뒤 플라이강원만 그해 취항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이스타항공이 국적사 가운데 유일하게 운항을 완전히 중단한 이후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가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취항을 시작해 국적 항공사 10곳이 비행기를 띄웠다.
이스타항공이 여기에 가담하면 항공좌석 과잉공급 우려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항공업계는 에어서울이 영업을 시작한 2016년부터 출혈경쟁이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등 대부분의 lcc는 작년 2분기부터 이미 적자를 이어왔다. 일본 수출규제로 인한 불매운동이라는 변수가 있었지만 성장 한계 시점이 앞당기는 기폭제가 됐을 뿐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 코로나 이전부터 이스타항공, 아시아나항공이 매물로 나오면서 항공업계 구조개편이 예고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스타항공이 살아 돌아오면서 오히려 국적사 수는 역대 최대가 됐다. 국토부가 항공업계 성장 전망에 대한 면밀한 고려 없이 신생 면허를 내준 결과라는 비판도 나온다. 실제 플라이강원, 에어프레미아 등 신생 LCC를 비롯해 매각설이 계속 나오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이슈가 남아 있지만 항공업계 구조조정 문제가 다시 불거질 거라는 우려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운항편을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하는 과정에서 시장 선점을 위한 프로모션 경쟁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결국 치킨게임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