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3명 중 1명, 그리고 64.2%. 현재 우리나라 챗GPT 사용현황이다. 대학생 10명 중 4명은 챗GPT를 일상에 활용 중이고 시민 3명 중 1명은 챗GPT를 최소 한번 이상은 써봤다고 답했다. 하지만 한번도 챗GPT를 사용해보지 않은 이들도 64.2%에 달했다.
'AI 챗GPT 기술은 인터넷이나 휴대폰 만큼이나 근본적인 것으로 일하고, 배우고, 여행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바뀔 것이다. 전체 산업이 AI를 중심으로 방향을 바꾸고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기업이 차별화 될 것이다.' 빌 게이츠 MS창업자는 블로그에 'AI 시대가 열렸다'(The Age of AI has begun)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서점가엔 챗GPT와 공저한 책이 나오고 챗GPT가 작사한 곡이 발표되는가 하면 AI가 만든 광고까지 보인다. AI가 가장 어려워할 것으로 예상했던 글 쓰고 그림 그리고 곡을 쓰는 예술창작의 영역에 자리매김하는 챗GPT를 두고 일자리에 대한 우려가 드는 건 당연하다. 심지어 미국 성인의 73%가 AI기술이 일자리나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생산성과 효율성의 끝판왕인 챗GPT는 정말 우리 일자리를 위협하는 위험한 존재일까? 아니면 인간의 가치와 역할을 확장시키는 기특한 존재일까?
전 세계는 차치하고 우선 한국 상황부터 짚어보자. 우리나라는 20년 후면 20세부터 60세 사이 노동인구가 거의 절반이 된다. 현재의 경제를 유지하려면 AI와 로봇 등에 힘입어 줄어든 인력의 몫까지 열일을 해내야 한다. 노동은 물론 지적노동 자동화는 우리에게 사회의 구조적 생존을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다.
치명적인 출생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는 한국상황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전체 국민의 교육 수준이 어느 나라 보다 높은데다 중장년층의 IT 수용도와 활용도가 높고 재교육에 대한 니즈 역시 남다르기 때문이다. AI기술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이다. 미국 시민이 챗GPT에 보인 73%라는 부정적 인식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전 세대에 거쳐 10명 중 9명이 보통이상으로 기술을 신뢰한다.
하민회 이미지21 대표. |
챗GPT는 단순 입력, 유사 반복, 정형적인 고객응답, 정형적 문장작성 업무 등에 인간을 대체할 수 있다. 미국 기업 1000곳 대상의 한 설문에 의하면 챗GPT 출시 후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절반가량(49%)이며 특정 업무에서 직원 대신 AI챗봇을 쓰고 있다. 주로 코드 작성, 광고 문안 작성 및 광고 제작, 고객 지원, 회의록 등 문서작성 업무를 한다. 근로자의 아이디어나 의지, 의사결정 같은 개입 없이 매뉴얼에 입각한 단순 반복 업무라면 일단 붉은 등이 켜진 셈이다.
요즘 전 세계 기업들은 챗GPT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잘 활용할 줄 알거나 관련 기술 능력을 가진 지원자를 선호한다. 빌 게이츠의 말처럼 AI활용역량에 따라 미래의 기업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챗GPT가 일자리를 위협하는 존재일까라는 질문에는 안타깝게도 그렇다는 답을 해야 할 것 같다. 오랜 시간 부지런히 일한 결과와 빼어난 도구인 챗GPT가 순식간에 만들어낸 결과가 같다면, 심지어 도구를 쓴 쪽의 결과가 더 우수하다면 어느 누구라도 도구 사용을 택할 것이다.
해 왔던 방식 그대로, 이 방식이 최고라는 생각 만큼 오늘날 위험한 건 없다. 혁신이 한가롭게 천천히 다가올 거라는 여유도 금물이다. 혁신적인 기술일수록 파괴적이다. 하루가 멀다하고 등장하는 AI신기술은 챗GPT가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챗GPT는 인간의 가치와 역할을 확장시키는 기특한 존재일까? 챗GPT가 직업이나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수는 없어도 직업의 성격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기술과 함께 직업이 진화될 것은 자명하다. 챗GPT는 스스로 무언가를 하지 못한다.
태생적으로 의사결정능력을 갖지 못한 AI 챗GPT는 자신을 활용하는 사람을 통해 역량을 발휘한다. 질문을 하고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 체계적일수록, 상상력이 풍부하고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할수록, 명확하게 요구하고 자세히 표현할 수록 챗GPT는 휼륭한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결국 인간의 가치와 역할을 확장시키는 존재는 챗GPT가 아닌 사람이다.
챗GPT는 제우스의 아들 카이로스를 닮았다. 앞머리는 무성하고 뒷머리는 대머리인 그의 발에는 날개가 달려 있고 손에는 저울과 칼을 들고 있다.
"내가 발가벗은 이유는 사람들의 눈에 잘 띄기 위함이고, 앞머리가 많은 이유는 내가 누구인지 사람들이 금방 알지 못하게 하고 내가 앞에 있을 때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뒷머리가 대머리인 이유는 내가 뒤로 지나가 버리면 다시는 붙잡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어깨와 발뒤꿈치에 날개가 달린 이유는 최대한 빨리 사라지기 위함이며 저울을 들고 있는 이유는 기회가 있을 때 저울을 꺼내 정확히 판단하라는 의미이며 날카로운 칼을 들고 있는 이유는 칼같이 결단하라는 의미이다.나의 이름은 '기회(Opportuniti)'다."
당신이 64.2%에 해당된다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챗GPT를 써보는 것이다.
◇하민회 이미지21대표(코가로보틱스 마케팅자문) =△경영 컨설턴트, AI전략전문가△ ㈜이미지21대표, 코가로보틱스 마케팅자문△경영학 박사 (HRD)△서울과학종합대학원 인공지능전략 석사△핀란드 ALTO 대학 MBA △상명대예술경영대학원 비주얼 저널리즘 석사 △한국외대 및 교육대학원 졸업 △경제지 및 전문지 칼럼니스트 △SERI CEO 이미지리더십 패널 △KBS, TBS, OBS, CBS 등 방송 패널 △YouTube <책사이> 진행 중 △저서: 쏘셜력 날개를 달다 (2016), 위미니지먼트로 경쟁하라(2008), 이미지리더십(2005), 포토에세이 바라나시 (2007)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