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챗GPT가 전시 기획한 미술관, 머지않아 등장"

기사등록 : 2023-03-28 16: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국립현대미술관, 주제 기획전 '전시의 전시' 개최
'기념' 주제 과거 전시 4개 재해석한 메타 전시
소장품 40여점 및 김보람·이정형 작가 신작 전시

[청주=뉴스핌] 이현경 기자 = "미래엔 챗GPT가 기획한 전시가 등장할 것이다."

김유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청주관 주제 기획전 '전시의 전시'를 준비하며 인공지능 챗봇 챗GPT에게 "미래의 전시는 어떤 모습일 것인가?"라고 물었다. 사람의 일을 인공지능이 대신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서다.

챗GPT는 답했다. 미래의 전시에 대해 디지털 기술과 가상현실(VR) 기술이 전시를 변화시킬 것이며 지속 가능성화 환경 친화적인 전시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예술 작품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이 중요해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다.

[청주=뉴스핌] 이현경 기자 = 챗GPT와 김유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가 나눈 대화 영상 2023.03.28 89hklee@newspim.com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주제 기획전'전시의 전시'를 통해 과거 미술관이 개최한 전시 중 '기념'을 주제로 한 4개 전시를 재해석해 선보이며 사회와 전시에 대한 관계를 연결짓는다. 아울러 미래에는 전시가 어떤 변화를 맞을지 챗GPT와 대화에서 찾아본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은 이번 '전시의 전시'는 독특한 전시라고 소개했다. 윤범모 관장은 28일 청주관에서 "해석하는 각도에 따라 작품의 성격이 달리 해석되는데, 이번 전시는 미술관 4관(과천, 서울, 덕수궁, 청주)의 대표 선수급을 모아 한자리에 선별한 작품을 공개한다"며 "보이는 수장고로 성공한 청주에서 전시도 소장품처럼 꺼내 다시 재조명하는 전시"라고 설명했다.

이 전시의 기획은 '그 많던 전시는 다 어디로 갔을까'라는 궁금증에서 시작됐다. 미술계에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전시는 끝나면 도록만 남는다'는 말에 대한 개념을 환기시키는 전시다.

[청주=뉴스핌] 이현경 기자 =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2023.03.28 89hklee@newspim.com

'전시의 전시' 담당자인 김유진 학예연구사는 "전시 아카이브의 수집이 이뤄지는 미술관의 기능을 소개하고 아카이브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보는 전시"라고 말했다. 이어 "전시를 기획하고 구성하는 '큐레이터'들의 인터뷰를 소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시의 의미와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전시를 위한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 4관에서 2000년대 이후 '기념'을 주제로 한 전시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전시는 광복 60주년 기념 '한국미술 100년(1부)'(2005), '신호탄'(2009), 덕수궁관 개관 20주년 기념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2018), 청주관 개관 기념 '별 헤는 날:나와 당신의 이야기'(2018) 등 4개 전시를 선정해 재구성했다. 

전시장 초입에는 미술관이 과거 개최했던 4개 전시의 당시 홍보 영상을 비롯해 그 시대에 중요한 사회 이슈를 담고 있는 영상 작품들이 모니터에 담겨 관람객에 전한다. 이번 전시의 '미리보기'격이다.

김유진 학예연구사는 '기념'을 주제로 한 이유에 대해 "사건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기념'을 하고 미술관은 전시 형태로 선보인다"며 "전시는 과거를 볼 수 있고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고 강조했다.

[청주=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이정형 작가의 '오늘의 현장' 2023.03.28 89hklee@newspim.com

전시를 재해석한 김보람, 이정형 작가의 신작도 만날 수 있다. 전시를 만들기 위해 숨겨진 노동을 아카이브 형식으로 제작한 이정형 작가의 '오늘의 현장'은 전시 기획, 디자인 작업을 하는 이정형 작가가 전시를 준비하면서 촬영한 사진과 기록물이다. 그의 작품 '작업-혼자할 수 없는'에는 "혼자서 하는 것과 하지 못하는. 같이해서 가능한 작업. 예술은 왜 작가가 혼자 한 것처럼 보여야 할가? 예술의 심화 뒤에 보이지 않는 많은 것들"이라는 글과 함께 2021년 11월 28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장 벽면을 페인팅하고 있는 작업자들의 현장을 담은 사진이 함께 기록돼 있다.

큐레이터와 전시의 의미를 상상해 영화화한 김보람 작가의 작품 '소환술'도 흥미롭다. 큐레이터를 '학예마법사'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상정해 전시를 준비하는 중에 일어난 학예마법사와 작품 간의 사건을 영화화한 '소환술'은 전시장 바닥 곳곳에 QR코드로 배치돼 있어 전시를 보며 활용할 수 있다.

미술관 소장품 40여 점이 5층 전시관을 꽉 채운다. 주로 한국 근현대 미술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작품들이다. 대중에게도 사랑받은 '물방울 작가' 김창열의(1929~2021)의 세 작품이 나왔다. '물방울'(1978), '해체-물방울', '회귀'다.

이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영일(1904~1984)의 '시골소녀'(1928)도 등장한다. '시골소녀'는 1929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해 황실 사무를 담당하던 이왕직에서 구입한 작품으로 이후 창덕궁에 보관되어오다 1972년 '한국근대미술 60년'을 계기로 발굴돼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이관된 작품이다. 오랜 세월에 색이 빠지고 훼손된 부분도 있지만 당시 화단에서 유행하던 향토적인 소재를 볼 수 있는 가치 있는 작품이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이영일의 '시골소녀' 2023.03.28 89hklee@newspim.com

누드화가 많이 없던 시대에 관람자가 화실을 엿보는 듯한 구도로 누드 모델과 이를 그리고 있는 화가의 풍경을 묘사한 권영우의 '화실별견'(1956), 입체파적이고 초현실주의 경향의 추상회화를 보여주는 변영원(1921~1988)의 '반공여혼'(1952),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작품이자 류경채(1920~1995)의 대표작인 '폐림지 근방'(1949)도 만날 수 있다. 1987년 대량의 국전 수상작들이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통해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이관됐는데 이 작품이 당시 기증된 작품 중 하나다.

전시는 김유진 학예연구사와 챗GPT가 '전시'를 주제로 나눈 대화 영상으로 마무리된다. 김 학예연구사는 챗GPT에 물었다. "과거 전시를 다시 선별해 다시 전시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챗GPT는 이렇게 말했다. 첫번째로 "예전 전시를 다시 전시함으로써 예술 작품의 역사와 전시의 변화를 추진할 수 있다. 이는 대중이 예술 작품의 발전과 전시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적인 이해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두번째 이유는 "예전 전시를 다시 전시하면 그 시대의 문화와 예술 작품이 다시 한 번더 조명되고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라고. 세번째는 "예술 작품의 유지와 보존을 도울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지난 예술 작품을 보고 현재와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각과 인식을 확장할 수 있다"라고 했다.

[청주=뉴스핌] 이현경 기자 = 류경채(1920~1995)의 대표작인 '폐림지 근방'(1949) 2023.03.28 89hklee@newspim.com

김유진 학예연구사는 챗GPT와 대화를 통해 이번 전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챗GPT로 전시를 기획하고, 자료를 찾는 시간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물론, 챗GPT의 정보 오류가 있어이를 재검토해야 하는 과정은 필요하며 한국어 능력은 영어에 못 미치는 기술적 한계도 있다.

김 학예연구사는 "챗GPT에게 국립현대미술관 개관일에 대해 물어보니 못 맞혔다. 이건 사실 기반 데이터라 쌓여야하는데 정보가 부족했던 거다. 계속 질문하면 데이터가 쌓인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챗GPT가 논란의 여지도 있다보니 버전도 계속 발전되고 있다"며 "미래에는 챗GPT에게 전시를 기획해달라고 하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오는 29일부터 7월30일까지 열린다.

89hkle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