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3월 28일 오후 3시1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이젠 익히 알려진 얘기지만 미국 은행의 국채와 모기지담보부증권 투자분에서는 이미 막대한 평가손실이 발생했다. 2020년 이후 불어난 예금을 관련 채권에 투자했지만 금리 급등으로 가격이 떨어진 탓이다.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미국 은행의 보유 유가증권의 평가손실은 작년 4분기 6200억달러로 1년 전의 80억달러에서 78배가량이 됐다. 어떻게 보면 SVB 사태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는 셈이다.
◆ 예금 유출 속 수익성 악화 직면
자체적인 경영재건 노력에도 예금 이탈을 막지 못한 CS의 사례 역시 은행권 전반이 마주한 위험이다. CS에서는 경영 불안 우려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작년 10월부터 예금 이탈이 꾸준히 발생했다. 적자의 늪에서 나오려고 구조조정에 착수했으나 경영재건 계획의 핵심인 부유층에서 매일 100억스위스프랑이 넘는 자금이 빠져나갔다. 그 뒤 SVB가 파산하면서 감당하기 어려운 자금이 인출됐다.
퍼스트리퍼블릭뱅크 로고 [사진=블룸버그통신] |
경영 부진은 CS 개별 문제일 수 있어도 예금 급감은 은행권 전반에 해당한다. 작년 미국 상업은행의 예금은 1948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해 순인출액이 2780억달러로 집계됐다. 국채 금리 등이 높아지자 자금 예치의 동기가 사라진 까닭이다. 은행에 예금은 비용이 적게 드는 사업 자금원이라는 점에서 이런 현상은 자금력이 약한 은행일수록 타격이다. 회사채 시장 등에서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현재 은행 사이에서는 예금 유출을 막으려고 금리 인상 경쟁에 돌입했다. 이달 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은행 10여곳의 1년짜리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는 연 5%다. 대형 은행으로 한정하면 훨씬 낮지만 웰스파고에서 11개월 만기 연 4% CD 금리도 나왔다. 1년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전 대형은행의 평균 1년 CD 금리는 0.25%였다.
예금 유출을 막기 위한 금리 인상은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수익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경기 냉각에 따른 대출 둔화나 침체에 대비한 대촌충당금까지 고려하면 수익창출 환경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바클레이스에 따르면 대형 은행의 순이자이익 증가율은 작년 22%(중앙값)에서 올해 11%로 하락이 예상된다.
당장 은행권 불안이 정부나 통화당국의 지원으로 일단락될 수 있다고 해도 경영 상황은 종전보다 어두워질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규제는 한층 강화하고 자금조달 비용은 상승하며 대출과 유가증권 투자에 대한 시각은 더 보수적으로 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용 부담은 커지는 한편 수익 창출의 통로는 위축돼 결국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것으로 보는 셈이다.
파이낸셜타임스의 미국 금융 부문 평론가 로버트 암스트롱은 "병리학적 비유를 하자면 은행에 대한 공적 지원으로 파산 위기가 진정되면서 은행의 '심장마비' 단계가 지났을 수도 있지만 이제는 이익 감소라는 '암'에 걸려 서서히 죽어가는 은행이 있는지 지켜봐야 한다"며 "예금이 가장 많이 이탈하는 취약한 은행일수록 신규 자본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마진이 가장 많이 줄 것"이라고 했다.
크레디트스위스 로고 [사진=블룸버그통신] |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