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글로벌 탈달러 순풍 탄 위안화 국제화…아직은 '찻잔 속 태풍'

기사등록 : 2023-05-09 16:3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러시아의 위안화 사용 폭증
위안화 무역결제 사례 속속 발생
디지털화폐 플랫폼 건설 주도
여전히 낮은 사용률, 갈길 먼 위안화 국제화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 ▲SVB 파산 등으로 인한 미국 금융업에 대한 불안감 등의 요인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국제통화 다변화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중국이 추진중인 위안화 국제화는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 위안화 국제화는 ▲무역대금 자국통화 결제 ▲새로운 국제 결제시스템 구축 등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 양자 무역의 위안화 결제 봇물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했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세계는 러시아를 스위프트(SWIFT)망에서 배제하는 제재를 가했다. 러시아는 중국과의 무역에서 스위프트를 회피하여, 위안화를 적극 사용하고 있다. 2022년 중국과 러시아의 무역액은 전년대비 29.3% 증가한 185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상당부분이 위안화로 결제됐다. 러시아의 외환결제액 중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2월 0.3%에서 올해 2월 39.6%로 급증했다.

2022년 9월 중국 국영 석유업체인 페트로차이나와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인 가즈프롬은 '중국-러시아 천연가스 구매 및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러시아의 수출대금은 중국이 루블화 50%, 위안화 50%로 결제된다.

2022년 6월 인도 내 최대 시멘트 공장인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는 러시아로부터 석탄을 구입해 위안화로 결제하기로 합의했다. 2023년 7월 호주 최대 광물기업인 BHP그룹은 철광석 위안화 현물거래를 시작했다.

올해들어 지난 3월14일 중국 수출입은행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은행과 최초로 위안화 대출을 성사시켰다. 아랍권 금융기관에 처음으로 위안화 대출이 실행된 사례다. 사우디가 중국에 수입대금을 지불할 때 위안화 대출을 일으켜 결제하고, 중국으로부터 원유수출 금액을 지급받을 때 위안화로 받아 대출을 상환하는 식의 거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사우디가 원유대금을 위안화로 받게 되는 것이다.

2023년 3월28일, 중국과 프랑스는 6만5000t의 LNG 첫 거래를 완료했으며, 이는 위안화로 결제된 첫 번째 LNG 거래로 기록됐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4월4일 "말레이시아가 더 이상 달러에 의존할 이유가 없다"며 중국에 '아시아통화기금' 설립 구상을 밝혔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양국 무역을 링깃과 위안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중국과 논의를 시작했다.

4월13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양국간 무역거래를 위안화와 자국의 헤일화로 결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4월 중국공상은행(브라질)유한공사도 첫 국경을 넘나드는 위안화 결제 업무를 성사시켰다.

아르헨티나 역시 중국과의 무역에서 위안화를 사용키로 결정했다. 세르히오 마사 아르헨티나 경제장관은 지난 4월26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 결제대금을 달러가 아닌 위안화로 결제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마사 경제장관은 "4월 한달간 약 10억달러어치의 중국산 수입품을 위안화로 결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후 매달 약 7억9000만달러어치의 수입품을 위안화로 결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사 장관은 "위안화 결제는 달러 유출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결정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해 위안화 무역 결제 총량은 41% 증가했다. SWIFT의 데이터에 따르면 무역금융에서의 위안화 점유율은 2022년 2월 2% 미만에서 1년 후인 지난 2월 4.5%로 증가했다. 전체 결제 비중의 6%를 차지하는 유로화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홍종현 미술기자 (cartoooon@newspim.com)

◆ 디지털 위안화, 그리고 국제 디지털 화폐 거래 플랫폼

이와 함께 중국은 '중앙은행 다자 디지털 통화 가교(Multipl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Bridge, M-CBDC 브릿지)'라는 플랫폼을 상용화하는 작업에도 매진하고 있다.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각국의 중앙은행과 시중은행들이 스위프트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간편하게 국제거래 결제를 할 수 있다.

플랫폼은 블록체인(분산원장) 기술이 활용됐으며, 비트코인처럼 관리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를 플랫폼에서 배제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미국이 러시아를 스위프트에서 배제하는 등의 사례가 원천봉쇄되는 셈이다.

결국 이 플랫폼이 상용화되면 스위프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미국 금융시스템을 거치지 않고서도 국가간 송금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미국의 금융제재가 무력해질 수 있다.

이미 디지털 위안화를 상용화한 중국은 해당 플랫폼을 완성시켜 달러가 아닌 각국의 통화로 국경간 자금거래를 가능케 하기를 원한다.

M-CBDC 브릿지는 홍콩과 태국이 2019년에 시작한 프로젝트로 UAE도 가입해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2021년2월에 가입했다. 2022년 10월 홍콩, 태국, 중국, UAE의 중앙은행이 M-CBDC 브릿지 시범사용 결과를 발표했다. 총 20개의 상업은행이 참여했으며, 6주동안 160여건의 결제를 수행했다. 지불측 상업은행과 수취측 상업은행이 중개은행 없이 직접 도킹해 결제하며, 결제와 동시에 중앙은행에서 정산이 진행된다. 현재 M-CBDC 브릿지는 실험단계에 불과하며, 디지털 통화, 환전, 외환관리 등의 방면에서 더욱 개선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하지만 ▲높은 편의성 ▲금융제재 불가로 인한 높은 신뢰성 ▲자국 통화 결제 가능이라는 명확한 강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M-CBDC 브릿지가 완성되면 상당한 파괴력을 지닐 것이라는 관측이다.

[뉴스핌 Newspim] 홍종현 미술기자 (cartoooon@newspim.com)

◆ 위안화 국제화, 아직은 먼 훗날의 이야기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국제화는 아직 먼 훗날의 이야기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오랜 기간 유지되어온 달러 중심 금융시스템이 단기간에 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동일한 원인으로, 중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거래 비중은 여전히 작은 일부만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국제결제은행(BIS)의 2022년 세계 주요통화 결제 비중 현황에 따르면, 미국 달러가 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료 16%, 엔화 9%, 파운드 7%, 위안화 4% 순이었다. 스위프트(SWIFT) 기준 올 3월 전 세계 결제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3%에 불과했다.

이 같은 상황은 중국 역시 잘 알고 있다. 때문에 위안화 국제화를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인식하고 있다.지난 3월3일 인민은행 부행장이자 국가외환관리국장인 판궁성(潘功勝)은 "위안화 국제화가 비교적 좋은 환경에 처해있고,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면서도 "앞으로 인민은행은 위안화 국제화를 질서 있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발언했다. 중국에서 '질서있게'라는 용어는 천천히 단계를 밟아 나간다는 뜻이며, 느린 속도로 진행될 것임을 예고할 때 사용된다.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를 지낸 주민(朱民)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부이사장 역시 지난 4월 인터뷰에서 비슷한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위안화로 거래되는 비중이 올랐지만, 자본계정 개방이 이뤄지지 않아 위안화 직접 교환이 어려운 탓에 한계가 존재한다"며 "전 세계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하며, 위안화로 지불되는 금액 역시 2.82%로 낮은 수준이다"고 소개했다. 그는 "국제 결제에서 위안화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위안화 국제화가 진행되는 중요한 진전"이라면서도 "하지만 위안화 국제화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

ys174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