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정책의속살] 내년 경제 회복된다는데…취업자 증가 축소 왜?

기사등록 : 2023-07-05 16:1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기재부, 32만명→18만명 축소 전망
"작년·올해 '고용 호황' 기저효과"
내년 고용률 62.7% 전망 역대최고

[세종=뉴스핌] 성소의 기자 = 정부가 내년 취업자 수가 연간 18만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32만명)보다 크게 둔화한 수준이지만, 내년 고용상황을 비관적으로 바라본 건 아니라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내년에도 대면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 호조세가 이어질 것이고, 올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수출이 본격 회복되면 제조업 고용도 개선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 '비관 전망' 아냐…작년·올해 '고용호황' 기저효과

5일 정부가 발표한 '2023년 경제전망'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취업자가 32만명 증가했다가 내년 그 증가폭이 18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82만명 증가했는데, 올해 32만명으로 둔화된 뒤 내년에는 18만명으로 가라앉는 모습이다.

[자료=기획재정부] 2023.07.05 soy22@newspim.com

수치만 보면 내년 고용상황에 대해 정부가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고용 상황은 내년에도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고, 예년과 같이 취업자가 늘 것이라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내년 취업자 전망이 다소 초라해보이는 건 작년과 올해의 반사효과 때문이다. 지난해(82만명)와 올해(32만명 예상)는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으로 전환하면서 '역대급'으로 고용 호황이 찾아온 해였다.

정부는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이례적으로 취업자가 크게 늘었고,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른 리오프닝 효과가 끝나는 내년부터는 장기추세로 돌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내년 취업자 증감이 작아보이지만, 실제 취업자 수로 보면 장기 추세로 복귀한다고 보면 된다"며 "작년과 올해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많이 튄 상태"라고 설명했다.

취업자 증감 지표가 주는 착시도 있다. 취업자 수는 말 그대로 취업자 숫자만 단순 집계한 것이기 때문에 인구 증감이 반영되지 않는다.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한 15세 이상 고용률을 보면 올해 67%에서 내년 67.2%로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62.7%는 연간으로 봤을 때 역대 최고 고용률로, 실제 정부가 예측한 내년 고용상황은 상당히 좋은 것이다. 최근 5년 간 고용률 추이를 보면 2018년 60.7%, 2019년 60.9%, 2020년 60.1%, 2021년 60.5%, 2022년 62.1%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 정부 "내년에도 예년수준 증가"…고용률 62.7% 예상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고용시장 동향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나쁜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1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들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지난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수는 2690만4000명으로 전년대비 21만8000명 감소해 1998년 이래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실업자 수는 전년대비 4만5000명 늘어난 110만8000명으로 2000년 이후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1.01.14 mironj19@newspim.com

올해도 정부가 예상했던 것보다 고용 성적이 좋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1~5월 취업자 수는 약 38만명 증가했다. 이 가운데 서비스업에서만 취업자가 47만명 가까이 늘었다.

외부활동 증가로 숙박·음식(17만3000명), 보건·복지(18만3000명) 등 대면서비스 업종 회복이 빠르게 일어났고 이것이 고용에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다.

특히 엔데믹 이후 대면서비스 일자리가 확대되면서 비대면서비스 업종 고용이 뒷걸음질 칠 것으로 예측됐지만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업 등 취업자 역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1~5월 정보통신업 취업자는 약 5만4000명 늘었고, 전문과학기술업은 약 6만8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해 정부는 지난 4일 발표한 2023년 경제전망에서 올해 취업자 증가폭을 종전 10만명에서 32만명으로 상향 조정했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호조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대면서비스업의 경우 올해까지는 리오프닝 효과로 평소보다 취업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에 내년에는 그보다 둔화될 수 있지만, 비대면 서비스업과 사회서비스업은 경기상황과 상관 없이 증가해오고 있다"며 "그게 계속될 것 같고, 하반기 반도체 수출이 회복되면 제조업도 좋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내년에도 고용은 예년 정도로 계속 좋을 것으로 본다"며 "장기적 평균 수준으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soy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