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지자체

[인구 절벽] 늙어가는 대한민국…2041년 인구 4000만명대 축소

기사등록 : 2023-07-11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070년 세계 103억명…한국 3800만명
세계 인구 급증 반면 한국 인구는 급감
50년 전보다 혼인 10만3000건 감소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우리나라 인구 감소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오는 2041년에 4000만명대로 국내 인구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고됐다. 이에 반해 세계인구는 폭증하고 있다.

통계청은 11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저출산과 우리 사회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2070년 세계인구 103억명…한국인구 3800만명 급감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올해 80억5000만명에서 2037년 90억명으로 늘어난다. 2058년에는 100억명을 돌파하고 2070년에는 103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41년에 4000만 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2011년 규모로 회귀한 수준이며 2070년엔 3800만명으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와 우리나라 인구 [자료=통계청] 2023.07.11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3~2070년 기간 중 세계의 인구 변화를 보면, 유소년인구(0~14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감소하고 고령인구(65세 이상)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의 변화는 세계 인구보다도 급격하게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세계의 유소년인구는 25.0%에서 18.5%, 우리나라는 11.0%에서 7.5%로 각각 6.5%p, 3.5%p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의 생산연령인구는 65.0%에서 61.4%, 우리나라는 70.5%에서 46.1%로 각각 3.6%p, 24.4%p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의 고령인구는 10.0%에서 20.1%, 우리나라는 18.4%에서 46.4%로 각각 10.1%p, 28.0%p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 인구 변화보다도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할 뿐더러 고령화 속도로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50년전 대비 연간 혼인 10만3000건 감소…합계출산율 0.78명 '심각'

향후 우리나라 인구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혼인과 출산도 급격하게 줄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혼인건수는 19만2000건으로 1970년 29만5000건 대비 10만3000건이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인 조(粗)혼인율은 3.7건으로 1970년 대비 5.5건 줄었다.

평균초혼연령은 남자 33.7세, 여자 31.3세로, 2012년에 비해 남자는 1.6세, 여자는 1.9세 늦춰졌다. 남녀 간의 평균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년(2.7세)에 비해 0.3세 줄었다.

OECD 회원국 합계출산률 [자료=통계청] 2023.07.11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0년 기준으로 25~49세 인구 중 혼인 경험이 있는 남자는 52.9%이며 여자는 67.1%로 나타났다. 2010년과 비교하면 남자(64.7%)는 11.8%p, 여자(77.4%)는 10.3%p 줄었다.

같은 해 혼인 경험이 있는 인구 비율은 2010년 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2010년 대비 혼인 경험 비율의 차이를 보면 남자는 30~34세가 가장 많이 감소(15.7%p↓)했고 25~29세가 가장 적게 감소(6.7%p↓)했다. 여자는 30~34세(16.9%p↓)가 가장 많이 감소했으며 45~49세(6.4%p↓)가 가장 적게 감소했다.

인구통계 수치에 곧바로 반영되는 출생아는 2022년 기준으로 24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12년 48만5000명 대비 23만6000명(48.6%)이 줄었다.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2012년(1.30명)보다 0.52명(39.9%) 감소했다.

모의 연령별 출산율은 30~34세가 73.5명으로 가장 높고, 35~39세가 44.0명, 25~29세가 24.0명, 40~44세가 8.0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에 비해 25~29세(53.4명↓), 30~34세(48.4명↓) 등으로 줄었다. 이와 달리  35~39세(5.0명↑), 40~44세(3.1명↑)는 늘었다.

2020년 기준 15~49세 기혼여성 중 추가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 규모와 비율은 75만 6천 명(12.5%)으로, 2010년(121만 5천명, 15.8%)에 비해 45만 8천명(3.3%p↓) 감소했다. 추가계획자녀 수는 0.16명으로 2010년(0.22명) 대비 0.06명 줄었다. 기대자녀수도 1.68명으로 2010년(1.96명) 대비 0.28명 감소했다.

신생아 사진 [사진=뉴스핌 DB]

같은 해 기준 출생아 수가 0명인 기혼여성(15~49세)은 0.68명의 추가자녀계획을 갖고 있었다. 출생아 수가 1명인 경우는 0.17명, 2명인 경우 0.02명, 3명인 경우는 0.01명으로, 2010년에 비해 모두 감소했다.

이와 함께 2021년 기준 우리나라 가구유형 비율은 친족가구 64.4%, 1인가구 33.4%, 비친족가구 2.2%로 구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달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 자료를 시작으로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대응을 위한 주제별 기획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범정부적으로 경제활동 인구 확충을 위한 대책 마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