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올해 빅테크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로 재미를 봤던 글로벌 헤지펀드들이 발걸음을 유럽으로 돌리기 시작한 가운데, 빅테크가 견인했던 뉴욕증시 랠리 지속 가능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각) 골드만삭스 데이터에 따르면 헤지펀드들은 2013년 이후 미국 증시에 대한 비중을 최소로 줄였고, 유럽 증시에 대한 비중은 역대 최대로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소재 안티포즈 파트너스 투자담당 이사 앨리슨 사바스는 엔비디아나 애플, 아마존과 같은 빅테크가 주도한 미 증시 랠리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이 과도하게 올랐다고 지적했다.
사바스는 "미국 테크 기업 상당수의 멀티플을 정당화하기 어렵다"면서 "엔비디아의 사업이 훌륭한 것은 맞지만 가치 투자자로써 엔비디아의 멀티플로 수익을 내긴 어렵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고강도 긴축이라는 막강한 악재 속에서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연초 이후 31% 가까이 올라 40년래 가장 강력한 상반기 성적을 올렸고, S&P500지수는 같은 기간 15% 정도 상승했다.
나스닥 상장 종목 가운데 우량주 100개로 구성된 나스닥 100 지수는 작년에는 33% 빠졌지만 올해는 37% 넘게 올랐고, 선행 주가수익비율은 26배로 10년 평균보다 30% 정도 높아진 상태다.
특히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모기업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플랫폼의 합산 시가총액은 10조달러 정도로 S&P500지수 시가총액의 28%를 차지할 정도로 몸집이 커졌다.
글로벌 헤지펀드들의 경우 빅테크에 가장 공격적으로 투자하며 재미를 봤는데, 골드만삭스가 지난 3월 공개했던 헤지펀드 포지션 상위 10위 종목들 중에는 빅테크 기업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빅테크 투자에 앞장섰던 헤지펀드들은 최근 유럽 증시로 발을 돌리기 시작했다.
연준의 금리 인상 악재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데다, 밸류에이션 부담 때문에 미국에서는 추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유럽을 공략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범유럽지수인 스톡스600지수는 연초 이후 5% 정도 오르는데 그쳤고,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의 경우 올해 적자를 기록 중이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 빈센트 린은 "헤지펀드들이 미 증시 하방 리스크를 염두에 두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사진=뉴스핌] |
◆ 빅테크 랠리 종료?
헤지펀드들이 빅테크 정리에 나선 가운데, 빅테크가 주도하는 미국 증시 랠리 종료 가능성을 두고 월가는 여전히 엇갈린 견해를 보이고 있다.
추가 랠리가 어렵다는 쪽에서는 조만간 시장 분위기를 뒤집을 악재들을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당장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이 예고돼 있고, 이번 실적 시즌 역시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S&P500 기업들의 2분기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해 3년 연속 감소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경기 침체의 전조로 꼽히는 미 2년 만기 국채 금리와 10년 만기 국채 금리의 역전 폭이 최근 42년 만에 최대치로 벌어진 점도 부정적인 요인이다.
반대로 뉴욕 증시 매도는 성급한 결정이라는 의견도 있다.
우선 이번 빅테크 랠리는 지난 1990년대 불었던 닷컴 버블 시절과는 달라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한 기술 혁신이 오래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최근 랠리가 더 이상 기술주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업종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랠리 지속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는 분석이다.
미국 대형 은행의 한 임원은 "상당수가 침체를 우려하고 있지만 미국 경제는 금리 인상 여건 속애서도 지금까지 탄력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증시 고평가 논란이 시작된 뒤에도 지난 1~2달 동안 증시는 10% 정도 더 올랐다며 랠리 흐름이 좀 더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