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태성 기자 = 중국 정부가 한국으로의 단체관광을 허용하면서 국내 상인들 사이에서 '관광특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관광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방에서는 이같은 조치가 '그림의 떡'이라는 목소리도 들린다.
14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나라 관광수지는 46억5000만달러의 적자로 나타났다. 상반기 집계만 볼 때는 2018년 이후 5년만에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한 셈이다. 상반기 기준 관광수지는 올해까지 23년째 적자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의 외국여행 허용국가에 한국을 포함하면서 국내 내수 시장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시내 한 면세점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화장품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노연경 기자] |
다만 문제는 유커들의 관광코스가 상당부분 특정 지역에 집중될 수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실제 코로나 이전에도 유커 대부분이 머문 지역은 서울 등 수도권과 제주도였기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지방의 소상공인들은 유커의 귀한을 체감할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온다.
충남의 한 소상공인은 "인천공항을 통해 서울 여행을 하러 오거나 제주공항으로 제주도 여행을 오는 게 중국인들의 여행 패턴"이라며 "여름 특수도 피크를 찍은 상황에서 큰 기대를 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사실상 전국적인 내수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는 정부의 기대와 현장의 체감도는 극과 극이라는 지적도 이어진다.
한 관광업체 관계자는 "중국인들도 예전과 달리 단체 여행을 하는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지방에 오더라도 드문드문 온다"며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가 지방에 풀릴 지는 확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관광 콘텐츠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예전과 같지 않아서 사실상 관광 인프라를 재구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괜히 서비스가 떨어지거나 바가지 요금 등이 나타나면 금새 이미지만 나빠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선 정부는 국내에서의 소비 활성화를 통해 하반기 경제 하락의 버팀목을 마련하자는 데 올인하는 분위기다.
정부 한 고위 관계자는 "유커들의 귀환이 당장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도 알고 있으나 일단 유커들의 단체 관광 수요가 풀리면 내수 경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지방에서의 여러 관광 인프라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역에서도 유커 맞춤형 관광 코스를 개발하고 있는 만큼 여러가지 관광 상품 개발에도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victor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