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횡령 등 금융사고를 막기 위한 금융권의 '내부통제 강화방안'이 하반기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사고 발생 시 경영진 책임을 묻는 금융판 중대재해법의 내년 시행이 예상되는 가운데 오는 10월 국감에서 금융지주 회장들의 '줄소환'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주요 지주사가 자발적인 내부통제 강화 움직임에 나서고 있어 향후 중요한 경영평가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지주사 및 시중 은행들을 중심으로 하반기 추가적인 내부통제 강화방안을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는 10월 국정감사에서 금융권의 잇단 횡령 등과 관련한 정치권의 질타가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선제적 대비도 필요하다는 분위기다.
지난해 국감에서는 5대 금융지주 회장 전원이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참석을 이유로 증인출석을 피하고 은행장들을 대신 보냈으나 올해는 별다른 일정이 없어 국회 소환이 유력한 상황이다. 금융사고 발생 시 경영진 책임을 묻도록 하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법률안', 이른바 '금융 중대재해처벌법'의 내년 시행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부담 요인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간사인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개정안을 지난 11일 대표발의 하면서 국회 통과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공포 후 6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시행된다. 개정안의 핵심은 내부통제 정책 수립과 감독에 관한 사항을 이사회 심의·의결 대상에 포함하고 이사회 내에 내부통제위원회(소위원회) 신설을 의무화하는 등 이사회의 역할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또한 임원의 직책별 책무를 사전에 정해 문서화하는 '책무구조도' 제도도 도입해 금융사고가 발생할 경우 책임을 명확히 한다는 방침이다. 최선을 다한 임원은 책임을 경감 또는 면제하는 조항도 있지만 횡령 등의 사건이 발생하면 경영진을 처벌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해석된다.
우리은행 700억원대 횡령 사건을 기점으로 자체적인 내부통제 강화방안을 내놓았던 금융권에서는 대내외 압박을 의식해서라도 추가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 이에 9년만에 새로운 회장을 맞이하는 KB금융그룹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리딩금융그룹의 선택이 기준점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KB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최종 후보자인 양종희 부회장이 11일 오전 KB국민은행 본점 신관 1층에서 취재진과의 약식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2023.09.11 yym58@newspim.com |
윤종규 회장 후임으로 내정된 양종희 KB금융지주 부회장은 지난 11일 최종 후보 발탁 후 첫 기자회견에서 "내부통제란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스스로 규율하는 것이 모든 프로세스에 적용돼야 한다. 이런 것들이 시스템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디지털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특히 양 내정자는 이 자리에서 100억원대 '국민은행 부당이득' 사건에 대해 고개를 숙이고 사과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현재 국민은행은 직원들이 상장사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27억원 부당이익 챙긴 사건으로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영유의'를 받은 상태다.
KB금융의 디지털을 활용한 내부통제 강화방안은 아직 구체적인 윤곽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다만 업계에서는 양 내정자의 발언을 고려할 때 직원들의 횡령 가능성을 차단하는 일종의 '실시간 감시 시스템' 도입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서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한 만큼 금융당국이 시간적 여유를 줄 필요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내부통제가 자칫 직원들에 대한 무차별 '내부감시'로 왜곡될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지주 관계자는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건 해당 금융사다. 잇단 횡령사건으로 그 어느때보다 내부 시스템을 강화하자는 공감대가 크다. 올해 안으로 실효성 높은 추가 방안들이 나오지 않겠는가"라며 "너무 압박하기 보다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접근할 필요는 있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