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삼성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보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집중해야 합니다."
로저 마틴 토론토대 명예교수가 18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열린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인터뷰에서 기자들의 질의응답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조수빈 기자] |
로저 마틴 토론토대 명예교수는 18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열린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이건희 경영학의 본질'에 대한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마틴 교수는 "규모가 커지고 자원이 많아질수록 기업이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여력도 확대되지만 할 수 있다고 해서 여러 산업에 진출하면 안 된다"며 "그 중에서 무엇에 진출할지를 전략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력관리에 대한 부분에 대한 조언도 이어졌다. 마틴 교수는 "삼성의 인재 제일 위주 문화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규모를 키워나가는데 집중해 인재 육성에 대한 시간을 적게 할애하는 기업이 많다"며 "(인력문제는) 현재 기업이 직면한 도전과제 중 하나다. 직원들이 기업의 아주 미미한 존재가 아닌 핵심적인 일원이라는 생각이 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과 같이 고속 성장한 기업들은 대규모 조직 관리를 위해 표준화, 구획화, 종속화 등 수단을 이용하지만 나중엔 직원의 몰입도 하락을 가져오게 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인공지능(AI) 시대 도래는 기업과 구성원에 도전이 될 것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그러나 마틴 교수는 AI는 일종의 버블이라고 본다며, AI에 대한 기대는 다소 과열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틴 교수는 "그럼에도 AI는 변화와 도전이다. AI는 반복적인 업무, 알고리즘 기반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거지 판단이나 결정 기반의 업무를 뺏진 못할 것"이라며 "AI를 통해 인간은 사고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되니 고숙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마틴 교수는 이 선대회장이 '전략 이론가'라며 평가하며 "신경영 선언 당시 이 선대회장의 어록을 분석해 보면 그는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통찰력을 보유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영의 정통적 접근 방식은 정답 지향, 합의 추구, 그리고 상충하는 대안 중 하나를 버리고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것인데 이 선대회장은 '혹은(OR)의 사고방식'을 벗어나 통합적 사고를 통해 해결책을 찾았다"며 '통합적 사상가'적인 면모를 조명했다.
이 선대회장의 리더십에 대해선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주고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의지와 실패를 용인하지 않겠다는 리더십이 큰 덕목"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이 잘하지 못하는 분야를 찾고 일류가 되겠다고 했는데 말로만 그치지 않고 실제로 달성했다는 점 역시 높게 평가했다.
김상근 연세대 신학대 교수 역시 삼성이 퍼스트 무버로서 창의 지향적인 기업문화를 선도하며 인간의 가치가 존중되고 창조성이 넘치는 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이 선대회장이 프랑크푸르트에서 선언한 신경영이 지금의 삼성을 만들었다. 그 다음 단계는 재탄생과 창조성"이라고 설명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