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슬기로운 직장생활] 일반인 89.2%가 직장 내 협상 '중요하다' 인식

기사등록 : 2023-10-24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협상 스킬 자기테스트·직장 내 협상문화 설문
성별·연령별 차이 커…40대·여성 상대적 낮아
협상 중요성 인식 높지만 협상 스킬은 떨어져

직장생활은 취업부터 퇴직까지 협상의 연속이다. 하지만 합리적인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갈등은 분쟁으로 악화한다. 이에 노동위원회는 일반 국민의 협상에 대한 인식과 직장 내 갈등 해결 문화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기 위해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2가지 형태로 일반인 대상의 협상 스킬 자기테스트와 위원·조사관 대상의 직장 내 협상 문화 설문이다. 협상 스킬 자기테스트는 일반인의 협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항목 한 개와 협상의 준비부터 합의 이행 등 협상의 스킬 관련 10가지로 구성됐다. 구글폼을 통해 조사했고, 이에 1269명이 응답했다. 

직장 내 협상문화 설문은 노동위원회에서 사건을 해결하는 위원과 조사관들을 대상으로 노사 각 주체의 의사소통, 협상 활용, 합의 이행 등을 평가하는 8개 설문으로 구성됐다. 이 설문은 설문지에 직접 기재하는 방식으로 조사했고, 이에 위원 453명과 조사관 102명이 응답했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 협상 스킬 자기테스크 분석 결과

▶ 직장생활에서 협상의 중요성 인식 89.2%

응답에 참여한 일반인의 89.2%가 협상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특징을 보면 직장생활을 오래한 사람일수록,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은 남성이, 업무 특성상 사람과의 관계가 많은 업종일수록 협상의 중요성을 크게 인지하고 있다.

▶ 협상의 기본은 의사소통… 경청과 말하기

협상의 기본은 의사소통이고, 의사소통의 핵심은 '남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는것'과 '말을 조리있게 하는 것'이다.

조사 결과 '나는 남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는 응답자 비율은 60대 이상(85.9%), 50대(79.5%), 2·30대(61.4%), 40대(60.2%)순이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그리고 '나는 말을 조리있게 하는 편이다'라는 설문에는 60대 이상(75.8%), 50대(65.4%), 40대(45.9%), 2·30대 이하(40.1%)순이다.

연령이 올라갈수록 경청의 태도와 조리 있는 자기 표현력을 갖춰, 협상 능력이나 대인 관계의 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연령대만큼 크지는 않다. 경청의 자세는 남성 78.8%, 여성 74.3%로 차이가 작으나, 말하기 능력은 남성 63.5%, 여성 50.9%로 차이가 크다.

▶ 협상의 성공은 합리적 대안 선택

협상의 성공은 합리적 선택에 좌우된다. 나의 입장을 명확히 결정하고, 선입견을 배제하며 이성적인 의견 조율을 거쳐, 미래의 이익까지 감안한 합리적 사고가 필요하다.

조사 결과 '나는 누가 내 의견에 반대하면 불쾌해하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23.2%, 여성 42.4%로 큰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18.5%, 50대 23.9%, 40대 46.8%, 2·30대 이하 37.6%로, 40대가 가장 높았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나는 결정을 내릴 때 주변의 눈치를 보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도 남성 27.5%, 여성 51.2%로 차이가 컸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4.1%로 가장 낮고, 50대(26.5%), 40대(56.0%), 2·30대 이하(61.4%) 순으로 높았다.

'나는 미래보다 현재의 이익이 훨씬 중요하다고 믿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도 남성 22.7%, 여성 34.4%로 차이가 컸다. 연령대별로는 50대(21.9%), 60대 이상(23.1%), 2·30대(30.2%), 40대(36.5%) 순으로 높았다.

종합하면 여성과 40대는 상대적으로 주위의 눈치를 많이 보는 편이고, 현재지향적이다. 선입견 또한 강한 편이다.

▶ 협상의 성공은 사전 준비에 의해 좌우

협상의 성공은 사전 준비에 크게 좌우된다. 협상의 원만한 진행은 상호 양보와 배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호 신뢰를 쌓고, 자신의 문제점을 살피고, 문제의 해법에 집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나는 무슨 일이 있다면 사전 준비를 많이 하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76.6%, 여성 58.0%였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83.5%)로 가장 높고, 50대(73.8%), 2·30대(59.4%), 40대(56.8%) 순으로 높았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나는 상대에게 양보하면 보상이 돌아온다고 믿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50.0%, 여성 42.1%였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52.7%), 40대(48.7%), 50대(44.4%), 2·30대(42.1%) 순으로 높았다.

'나는 일이 안풀리면 내게 문제가 있는지 먼저 생각하는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66.9%, 여성 63.0%였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69.8%), 50대(67.7%), 2·30대 이하(67.3%), 40대(56.4%) 순으로, 40대가 가장 낮았다.

'나는 일이 생기면 책임을 따지기 보다 해법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라는 설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80.2%, 여성 76.4%로 차이가 컸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84.9%), 50대(82.2%), 2·30대 이하(73.8%), 40대(71.2%) 순으로 낮았다.

◆ 직장 내 협상 문화 설문 분석 결과

▶ 의사소통 및 경청의 능력 30%

응답한 위원과 조사관들은 노사가 '의사소통을 잘하는지'에 대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평균 36.5%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노사 각 주체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면 관리자와 노동조합 간부가 일반근로자와 경영자에 비해 높았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지'에 대한 평가에서도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31.6%로 매우 낮다.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순서는 관리자, 노동조합 간부, 일반 근로자, 경영자 순이다.

▶ 일상의 문제를 협상으로 해결하는 능력 37.3%

노사 각 주체가 일상의 갈등 문제를 협상을 통해 잘 해결하는지 평가하였을 때, 평균 37.3%로 낮았다. 각 주체별로는 관리자 32.4%, 노동조합 간부 29.2%, 경영자 25.9%, 일반 근로자 21.6%였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협상을 통해 잘 해결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응답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났다. 사용자 위원은 자기 중심적 사고를 가장 큰 원인으로 보았으며, 근로자 위원은 상호불신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보았다. 공익위원은 상호불신과 자기중심적 사고를 비슷하게 보았다. 조사관은 상호불신 다음으로 협상교육 기회의 부재를 가장 큰 원인으로 보았다.

▶ 노사 각 주체의 합의 사항 이행 정도 57.7%

노사 각 주체가 '합의 사항을 잘 이행하는지'에 대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전체 응답 평균 57.7%였다. 각 주체별로는 관리자 63.3%, 일반근로자 61.6%, 경영자 53.5%, 노동조합 간부 52.4% 였다. 이는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비교하면 다른 설문보다 높은 수치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합의 사항을 이행하지 않는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48.0%가 상호불신을, 37.3%가 기회주의적 태도를, 10.7%가 비합리적 협상 결과물을, 4.0%가 기타를 원인으로 뽑았다. 그러나 응답자 배경에 따라 차이가 컸다.

공익위원과 근로자위원은 상호불신을 가장 큰 원인으로 뽑았고, 사용자 위원은 기회주의적 태도를, 조사관은 비합리적 협상 결과물과 상호불신을 대등한 수준의 원인으로 봤다.

▶ 노사가 단체협약에서 쟁점을 잘 조율하는 정도 32.7%

'노사가 단체협약에서 쟁점을 잘 조율하는지'에 대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이 전체 응답 평균 32.7%였다. 주체별로는 노동조합 29.7%, 사용자 35.7%였다.

응답자 배경에 따라 나누면, 노동조합에 대해 공익위원 12.3%, 사용자위원 46.3%, 근로자위원 53.2%, 조사관 14.7%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사용자에 대해서는 공익위원 15.3%, 사용자위원 70.4%, 근로자위원 40.7%, 조사관14.7%였다. 노사위원과 달리 공익위원과 조사관 모두 10%대로 매우 낮게 평가했고, 이 비율은 노사 모두 비슷했다.

▶ 우리나라 노동법이 협상·화해·조정을 활용하기 용이한 정도 22.2%

위원·조사관의 22.2%는 우리나라 노동법이 협상·화해·조정을 활용하기 용이한지에 대한 질문에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자료=중앙노동위원회] 2023.10.23 jsh@newspim.com

공익위원의 18.4%, 사용자위원의 33.4%, 근로자위원의 15.6%, 조사관의 17.6%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거꾸로 보면 다른 위원이나 조사관에 비해 노동계 출신인 근로자위원이 우리나라 노동법이 협상·화해·조정을 활용하기에 용이하지 않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 시사점

협상의 중요성이 커지지만 노사와 일반인의 협상 스킬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는 없었다. 이런 점에서 노동위원회가 실시한 본 조사는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조사의 가장 큰 시사점은 첫째, 협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협상의 스킬은 낮다는 것, 둘째, 바람직한 분쟁 해결 관행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셋째, 사회 전반의 신뢰 강화를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반인의 89.2%가 협상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지만, 협상 스킬 각 항목에 대한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는 비율은 54.8%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협상 스킬을 평가하기 용이하도록 계량화하는 차원에서 점수를 환산하면 69.8점에 불과했다. 이 점수는 각 설문당 10점을 만점으로 총 10문항 100점으로 하고, 각 문항의 협상의 촉진 요소를 최대 10점부터 0점으로 분류하여 계산한 것이다.

※ [슬기로은 직장생활]은 <뉴스핌>이 중앙노동위원회와 제휴를 맺고 위원회가 분기별로 발간하는 계간지 <조정과 심판>에 담긴 직장생활 노하우 주요내용을 연재하고 있는 기사입니다.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