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분석] 북한 군사정찰위성, 해상도 성능 최대 관건…발사체 기술은 성숙 검증

기사등록 : 2023-11-22 19:3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북한 "22일 오전 괌 상공서 美군사기지 촬영"
합참 "위성체 궤도진입…정상작동 추가 분석"
전문가들 "러시아의 우주센서 기술 지원 주목
북한 최대한 빠른 시간에 다수 위성 올릴 듯"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북한은 22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전 10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했다"면서 "(우주)궤도에 진입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의 작동 상태와 세밀조종 진행 정형, 지상 구령에 따른 특정지역에 대한 항공우주촬영 진행 정형을 요해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 위원장에게 '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7~10일 간의 세밀조종 공정을 마친 후 오는 12월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에 착수하게 된다'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김 위원장이 22일 오전 9시 21분에 수신한 태평양지역 괌 상공에서 앤더슨 미 공군기지와 아프라항 등 미군의 주요 군사기지 구역을 촬영한 항공우주 사진들을 봤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21일 밤 10시 42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운반 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며 22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권용수 "유사시 또는 전시, 항모 증원전력 조기 탐지 식별" 

북한은 "김 위원장이 '공화국 무력이 이제는 만리를 굽어보는 눈과 만리를 때리는 강력한 주먹을 다 함께 자기 수중에 틀어쥐였다'고 하면서 우리의 위력한 군사적 타격 수단들의 효용성을 높이는 측면에서나 자체 방위를 위해서도 더 많은 정찰 위성들을 운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재삼 강조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김 위원장이 남조선과 태평양 주변 지역에 대한 당면한 항공우주정찰능력 조성 계획을 당중앙위원회 8기 9차 전원회의에 제출하려는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제의를 승인했다"면서 "2024년도 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심의하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합동참모본부는 22일 저녁 "북한이 발사한 군사정찰위성은 비행 항적 정보와 여러 가지 정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위성체는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사실상 발사 성공으로 평가했다. 

다만 합참은 "위성체의 정상 작동 여부 판단에는 유관 기관과 한미 공조 아래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무기체계 권위자인 권용수(해사 34기) 전 국방대 교수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이 정상적으로 작동을 한다면 유사시 또는 전시에 항모 중심의 연합군 증원 세력을 조기에 탐지 식별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더욱 심각해졌다"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북한의 위성 발사체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상당히 성숙한 것으로 평가해 왔다. 과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독자적으로 개발해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데 성공해 왔다.

다만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올리기 위해 지난 5월과 8월 2차례에 걸쳐 발사했지만 실패한 원인은 그동안 북한이 시도했던 발사 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궤적의 발사를 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액체 엔진을 활용하는 군사정찰위성 발사 과정에서 엔진 잔해물을 미국에 노출하지 않기 위해 중국 방향으로 비행궤도를 급선회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면서 실패한 것으로 분석됐다.

1차 발사 때는 엔진 점화도 되기 전에 추락했고, 2차 발사 때는 비행 중에 착오가 너무 커 자폭됐다. 다만 북한이 발사체 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1·2차 실패 때마다 원인을 즉각 공개하고 추가 발사를 예고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3차 발사 때도 북한이 위성 발사체 잔해물 낙하지점을 국제해사기구(IMO)에 사전 통보한 비행 좌표를 분석해 보면 1·2차 발사 때와 똑같이 완전히 새로운 급선회 방식을 고수하며 발사를 거듭했다. 중국 방향으로 비행 궤도를 급격하게 꺾으면서 1차 발사 때는 완전 실패했고, 2차 때는 좀 더 나아졌고 이번 3차에 성공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이 21일 밤 10시 42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운반 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며 22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北 발사체 11분45초만에 고도 도달, 엔진 성능 주목      

북한의 위성 발사체 기술 자체는 어느 나라와 견줘도 워낙 발전돼 있어서 이번 3차 발사 때는 러시아의 기술 자문 정도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권 전 교수는 "북한이 아직은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는 위성센서 자체에 대해 러시아로부터 어느 정도 해상도의 전자광학렌즈(EO) 센서 기술 지원을 받았는지가 이번 발사 성공의 핵심 관건"이라면서 "북한이 이번에 EO센서 위성을 쏘아 올린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군사정찰위성이 우주궤도에 진입해 하루 이틀 정도 지난 후에 안정화 상태에 접어들면 먼저 통신을 체크하고 사진과 영상을 찍어 보내 북한이 공개한다면 군사정찰위성으로서의 어느 정도 성능과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북한 자체의 EO센서를 탑재했는지 아니면 고해상도의 러시아 기술 지원을 받았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금으로서는 러시아 기술과 부품을 어떤 부분에서 어느 정도 지원을 받았는지 알 수가 없다.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한미일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성공 여부를 어떻게 결론낼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여하튼 이번 정찰위성 발사를 통해 북한의 발사체 기술과 수준, 능력은 어느 정도 검증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이 앞으로 독자적 개발을 통해 정찰위성을 얼마나 추가로 올릴지가 주목된다.

특히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 사진을 보면 이번에도 1·2차 때와 동일하게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발사대가 아닌 새로 증축한 간이 발사대에서 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이 이번 발사에 완전 성공하게 된다면 향후 추가적인 정찰위성을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다수 쏘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이번 우주발사체의 비행시간이 11분 45초 밖에 안될 정도로 빠른 속도로 날았다는 것은 그만큼 엔진 추력 성능이 엄청나게 뛰어나다는 것으로 보여준다. 올해 5월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목표 고도 550km까지 도발하는데 걸린 비행시간은 18분 58초였다.

kjw8619@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