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12-07 14:48
[서울=뉴스핌] 윤채영 김윤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7일 내년 총선 경선에서의 현역 의원 페널티 강화와 전당대회 룰에 대한 당헌 개정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일부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은 "나치"를 언급하는 등 반발을 쏟아내기도 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전당대회 투표에서 대의원제를 축소하는 것에 대해 "정당은 당원들이 주인"이라며 "어느 정도 표의 등가성을 보장해 나가는 방향으로 당헌 개정을 시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지도부가 추진하는 현역 의원 페널티는 구체적으로 선출직 공직자 평가 하위 10%에 속한 현역 의원의 경선 득표 감산 비율을 현재 20%에서 30%로 늘리는 개정안이다.
또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 내년 8월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표 반영을 축소하고 권리당원 투표 비중을 늘리는 전대 룰 개정안도 추진 중이다.
중앙위 자유토론에서 '원칙과 상식' 모임 소속이자 대표 비명계인 이원욱 의원은 "포퓰리즘과 정치 권력이 일치될 때 독재 권력이 된다"며 독일의 '나치' 정당을 언급했다.
이 의원은 "황교안 자유한국당과 태극기 부대의 결합으로 (자유한국당이) 총선에 패배했다"며 "우리가 가는 길이 그 모습을 닮아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원칙과 상식'의 윤영찬 의원은 "우리 당 분위기는 대의제가 마치 악이고 1인1표제 직접 민주주의가 선인 것처럼 오해하는 것 같다"며 "그러면 모든 국가가 직접 민주주의를 했어야 하지 않느냐"고 했다.
윤 의원은 "정당 주인은 당원이라고 얘기하는데 맞다. 하지만 정당 존재 이유는 결국 국민 아닌가"라며 "대의제는 숙의 정치를 하고, 일부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정치 장악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존재해 왔다. 대의제를 중심으로 하되 직접민주주의를 어떻게 보완할 건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몇몇 의원들은 추가 논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전해철 의원은 "총선을 잘하기 위해 단결과 단합이 필요한데 불필요한 혼란이 생긴다"며 "급하지 않은 것이니 일단 부결하고 지도부가 충분히 더 논의해달라"고 요구했다. 설훈 의원은 "고쳤을 때 생기는 불협화음과 문제점보다 잘 돼 있는 내용을 지속하는 게 훨씬 낫다"고 거들었다.
비명 박용진 의원도 공천 룰과 관련해 "시스템 공천의 핵심은 예측 가능성"이라며 "국민들과의 약속, 시스템 공천의 핵심을 건드려선 안 된다"며 당헌 개정안에 대한 부결을 호소했다.
반면 조정식 민주당 사무총장은 "특별 당규는 손대지 않았다, 시스템 공천의 기본 틀에 따라서 하는 것"이라며 현역 의원 하위 평가자 페널티 강화를 담은 당헌 개정은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대표는 토론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비명계의 우려에 대해 "정당이라고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의견이 다양한 것이고 의견들을 모아서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과정들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도 "중앙위 토론은 다양한 의견 자유롭게 내시는 건데 결론에 따르면 된다"고 답했다.
두 안건은 이날 오후 12시부터 오후 3시까지 중앙위 온라인 투표를 거쳐 의결되면 최종 확정된다.
ycy148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