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북한이 17일 심야에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1발을 발사한 데 이어 18일 아침에는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18일 "우리 군이 아침 8시 24분께 북한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장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1발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합참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약 1000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2023년 7월 12일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시험 발사했다고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일본 방위성은 북한의 ICBM이 9시 37분까지 약 73분 간 비행했으며 최고 고도는 약 6000㎞가 넘는 것으로 발표했다.
합참과 일본 방위성 발표를 종합하면 북한 탄도미사일이 고각으로 발사돼 비행거리가 1000km, 비행시간이 약 73분으로 지난 4월과 7월에 북한이 발사했던 신형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지난 7월 12일 화성-18형 2차 성능 시험발사 때 "최대 정점고도 6648.4㎞까지 상승해 비행거리 1001.2㎞를 4491초(74분 51초) 비행해 조선 동해 공해상 목표 수역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발표했다.
신형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은 핵탄두를 탑재해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사거리 1만 5000km급으로 평가된다.
핵탄두를 탑재해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사거리 1만3000km급 ICBM '화성-15형', 사거리 1만5000km급 신형 ICBM '화성-17형'과 함께 미국에 대한 핵억제력의 핵심 전략 수단으로 운용될 것으로 보인다.
무기체계 권위자인 권용수(해사 34기) 국방대 명예교수는 "일본 방위성과 한국 합참 발표한 비행 특성을 종합하면 이번 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는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 발사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권 명예교수는 "정확한 제원은 북한의 발표가 있어야 알 수 있다"면서 "다만 비행 거리와 시간만으로 본다면 전반적인 비행 특성은 지난 7월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 2차 시험 발사 때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권 명예교수는 "북한의 이번 시험 발사가 화성-18형의 고체연료 ICBM 기술 중 고체추진 시스템의 신뢰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명예교수는 "북한이 화성-18형의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서 "내년에는 ICBM의 정확성과 생존성에 직접 관련이 있는 다탄두 개별목표 설정 재진입체(MIRV) 기술 완성에 대한 다양한 시험발사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북한은 올해 2월 8일 밤 인민군 창건(건군절) 75돌 군사력 열병식에서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고체연료 ICBM으로 추정되는 신형 ICBM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북한이 2023년 4월 14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비행시험을 13일 했다면서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고체연료 ICBM은 신속 기동해 발사할 수 있어 액체 ICBM에 비해 전략적 가치가 크다. 북한이 고체연료 신형 ICBM을 전력화하면 이동식 발사대(TEL)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지 신속성과 기동성, 은폐성을 보다 고도화한 ICBM을 갖게 된다.
북한 노동미사일은 연료를 주입해 발사까지 30~45분이 걸린다. 반면 고체연료는 3분의 1인 10~15분이면 발사할 수 있다. 그만큼 고체연료는 기동성과 즉응성이 탁월하다. 액체연료 ICBM은 연료를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기동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쉽게 노출된다.
북한은 2021년 1월 8차 노동당대회에서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계획'의 '핵심 5대 과업'을 제시했었다. 핵심 5대 과업은 ▲초대형 핵탄두 생산 ▲1만5000㎞ 사정권 안의 타격명중률 제고 ▲극초음속 활공 비행전투부의 개발 도입 ▲수중 및 지상 고체발동기 대륙간 탄도로켓 개발 ▲핵잠수함과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보유 등이다.
북한은 올해 들어 ▲새해 첫날인 1월 1일 초대형 방사포(KN-25) 1발 ▲2월 18일 ICBM 화성-15형 1발 ▲2월 20일 KN-25 2발 ▲2월 23일 핵탄두 탑재 가능 주장 전략순항미사일 4발 ▲3월 9일 KN-23 파생형 근거리 탄도미사일(CRBM) 6발 ▲3월 12일 잠수함 발사 전략순항미사일(SLCM) 2발을 첫 발사했다.
또 북한은 ▲3월 14일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추정 2발 ▲3월 16일 신형 ICBM 화성-17형 1발 ▲3월 19일 전술핵 탑재 가능 주장 KN-23 1발 공중폭발 '핵반격' 전술훈련 ▲3월 22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4발 ▲3월 21~23일 핵무인수중공격정 '해일-1'·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화살-1' '화살-2' 시험발사를 했다.
이어 북한은 ▲3월 25~27일 '해일-1' 기폭시험 ▲3월 27일 KN-23 추정 2발 ▲4월 4~7일 '해일-2' 기폭시험 ▲4월 13일 신형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 ▲6월 15일 KN-23 추정 2발 ▲7월 12일 신형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 ▲7월 19일 KN-23 추정 2발 ▲7월 22일 순항미사일 여러 발 ▲7월 24일 KN-25 2발 ▲8월 21일 전략순항미사일 발사 ▲8월 30일 KN-24 2발 전술핵 공중폭발 등 도발과 무력 시위를 했다.
또 북한은 ▲9월 2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2발 ▲9월 13일 KN-23·KN-24 추정 2발 ▲11월 21일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 발사 ▲11월 22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 ▲12월 17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 등 이번까지 28차례 걸쳐 도발과 무력 시위를 하고 있다. 북한은 이번까지 ICBM 5기를 포함해 17차례에 걸쳐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