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GAM] 버블 꺼진 지구촌 전기차 2024년 부활 기대주 - ①

기사등록 : 2023-12-29 15:0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적자 전기차 종목 시총 86% 급감
흑자 3사도 주가 동반 폭락
회생에 필요한 두 가지 요건

이 기사는 12월 20일 오후 3시4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미래 자동차로 꼽히는 전기차 시장이 2023년 곤욕을 치른 가운데 투자은행(IB) 업계는 새해 회생할 종목을 찾는 데 분주한 움직임이다.

전기차 버블 붕괴는 관련 종목들의 시가총액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업계에 따르면 2021년 고점을 기준으로 니콜라(NKLA)와 피스커(FRS), 리비안 오토모티브(RIVN), 루시드(LCID), 니오(NIO), 샤오펑(XPEV), 폴레스타 오토모티브(PSNY), 카누(GOEV), 로즈타운 모터스(RIDEQ)의 시가총액이 약 4700억달러에 달했으나 최근 680억달러로 급감했다. 시가총액이 고점 대비 86% 줄어든 셈이다.

전기차 업체 가운데 흑자를 창출하는 3개 업체 테슬라(TSLA)와 BYD(BYDDY, 002594), 리오토(LI)도 마찬가지다. 이들 업체의 시가총액은 1조4000억달러에서 정정을 찍은 뒤 큰 폭으로 감소, 최근 9100억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테슬라의 주가가 2021년 10월31일 407.36달러까지 오른 뒤 12월19일(현지시각) 257.22달러로 내려 앉았고, 같은 기간 시가총액은 1조2000억달러에서 8013억달러로 급감했다.

적자 전기차 업체들 시가총액 추이 [자료=팩트셋, 블룸버그]

테슬라가 12월13일 200만대에 달하는 리콜을 실시하기로 하는 등 개별 기업의 악재가 불거졌을 뿐 아니라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반의 판매 증가폭이 둔화되는 양상이다.

시장 조사 업체 로 모션에 따르면 2023년 11월 전세계 배터리 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의 판매량이 140만대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계 전기차 판매 추이 및 전망 [자료=스태티스타 마켓 인사이트]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 20%에 그쳤다. 또 다른 시장 조사 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전세계 전기차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49% 뛰었지만 이후 증가폭이 크게 둔화된 셈이다.

향후 전망도 흐리다. 시장 조사 업체 글로벌데이터는 2023~2035년 전세계 전기차 시장의 연평균 판매 성장률이 15.9%로 낮아지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차량용 반도체 칩을 공급하는 온 세미컨덕터(ON)의 2023년 4분기 매출 전망이 월가의 기대치에 못 미쳤고, 파나소닉(6752)의 2024 회계연도 매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도 전기차 시장 전망을 흐리게 하는 대목이다. 전기차는 휘발유 차량에 비해 더 많은 반도체를 필요로 하기 때문.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고성장 모멘텀이 한풀 꺾였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제너럴 모터스(GM)가 신형 전기차 모델 출시를 늦추기로 한 것도 이 같은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과격한 금리 인상에 단기적으로 수요가 꺾였다는 판단과 함께 전기차를 살 만한 사람들은 대부분 제품을 구매했고, 새로운 수요가 전기차 공급 초기만큼 가파르게 늘어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전세계 자동차 시장이 장기적으로 전기차를 중심으로 재편된다는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전기차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으로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오르기는 힘들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전기차 섹터의 주요 종목들이 일제히 2021년 고점에서 큰 폭의 주가 하락을 연출한 가운데 월가는 가격 경쟁력과 영업 흑자를 내는 기업들이 2라운드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한다.

궁극적으로 전기차가 휘발유 차량을 모두 대체할 전망이지만 전기차 판매 성장이 둔화된 데는 가격 부담이 한몫 하고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실제로 배런스에 따르면 전기차 평균 가격이 5만2000달러로 집계됐다. 초고가 차량을 제외한 휘발유 자동차의 평균 가격보다 20% 높은 수준이다. 전기차 평균 가격이 2022년 11월 6만5000달러에서 상당폭 떨어졌지만 여전히 가격 부담이 작지 않다는 지적이다.

일부 업체는 차량을 초고가에 내놓았다. 패러데이 퓨처 인텔리전트 일렉트릭FFIE)이 대표적인 사례다. 업체는 1000 마력을 내는 전기차를 30만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업체의 주가는 2021년 2월 1660달러까지 치솟았지만 12월19일 0.28달러에 마감했다. 기대와 소문에 뛰었던 주가가 휴지 조각으로 전락한 셈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시행중인 전기차 보조금 제도가 12월31일 일부 또는 전면 폐지될 경우 전기차의 가격 장벽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미국은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해 보조금을 제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12월31일부터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의 원산지를 따지는 새로운 원칙이 발효된다.

그나마 전기차 평균 가격이 하락한 데는 테슬라의 활약이 크다. 업체는 주요 제품의 평균 가격을 4만4000달러까지 낮췄다.

독보적인 시장 입지를 앞세워 고객 기반을 확대하는 한편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부담을 경감한다는 취지다.

테슬라 차량의 평균 가격은 업체를 제외한 제품 평균 가격인 6만4000달러를 크게 밑돈다. 최근 대량 리콜 사태에 투자 심리가 급랭했지만 이번 사안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만큼 실질적인 수익성 타격은 제한적이라는 데 월가는 한 목소리를 낸다.

전기차 시장 초기의 고성장을 주도했던 폭발적인 수요가 한풀 꺾인 만큼 지금부터 승자는 적정 가격에 제품을 판매하면서 이익을 내는 업체라고 투자자들은 강조한다.

이 같은 논리로 볼 때 배런스는 테슬라와 리 오토, BYD의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추천한다. 이들 3개 업체가 전기차 시장에서 흑자를 창출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여력을 지녔다는 판단이다.

리비안 R1S 생산 라인 [사진=블룸버그]

이들 가운데 특히 리 오토와 BYD가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더욱 매력적이라는 평가다. 테슬라는 2024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약 60배의 밸류에이션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BYD의 밸류에이션은 13로 집계됐다. 리 오토 역시 20배의 밸류에이션에 거래, 테슬라보다 크게 저평가된 상태다.

이익 성장 측면에서도 두 개 중국 전기차 업체가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자극할 만 하다. 월가는 리 오토와 BYD가 2024년부터 3년간 연평균 30% 가량의 이익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리 오토는 월간 출하량 4만대를 돌파했다. 이는 안정적인 이익 창출에 필요한 판매량이라는 점에서 월가는 커다란 의미를 둔다.

나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업체는 이미 강력한 턴어라운드를 이뤄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업체의 매출액은 48억달러로 집계됐고, 주당순이익(EPS)은 45센트로 나타났다.

시장 조사 업체 팩트셋이 제시한 월가의 매출액과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는 각각 46억달러와 20센트였다.

1년 전 업체의 매출액은 13억달러에 그쳤고, 주당 5센트의 손실을 기록했지만 판매 급증과 함께 흑자 전환을 이룬 셈이다.

생산 라인을 대폭 확충하고 판매량을 늘리는 전략이 통했다는 분석이다. 리 오토는 2023년 3분기 10만5000대의 차량을 출하했다. 1년 전 1만7000대에서 크게 늘어난 물량이다.

테슬라가 분기 판매량 10만대에 이르기 전까지 안정적인 흑자를 내지 못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리 오토의 3분기 판매 기록은 의미가 크다고 월가는 강조한다.

업체는 2023년 4분기 12만5000~12만8000대의 제품을 출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상이 현실화된다면 중국을 중심으로 전기차 수요 둔화를 우려하는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매수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시장 전문가들은 말한다.

중국의 전기차(BEV) 판매는 3분기 전년 동기에 비해 10% 증가, 2분기 40%에서 크게 둔화됐다.

shhwa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