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합동참모본부는 2일 "북한이 이날 오전 11시께 북측 서해상으로 발사한 순항미사일 여러 발을 포착했다"면서 "한미 정보 당국이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순항미사일 발사는 지난 1월 30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1800~2000km급 '화살-2형'에 이어 1500km급 '화살-1형'의 '전략적 타격 능력을 높이기 위한 신속 반격 태세 검열을 했다'고 북한이 발표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지난 1월 31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1월 30일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훈련을 진행했다"고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2024년 1월 31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1월 30일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북한의 정확한 의도 파악 급선무"
북한군은 "해당 훈련은 군대의 신속 반격 태세를 검열하고 전략적 타격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무기체계 권위자인 권용수(해사 34기) 국방대 명예교수는 "화살-2형의 신속 반격 태세 검열을 위한 발사 훈련을 진행했다는 발표는 '화살' 계열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의 전력화가 임박했거나 초기 단계에 진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었다.
북한은 올해 들어 극히 이례적으로 10일 간 2.5일에 한 번꼴로 4차례에 걸쳐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새로운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시험 발사를 하게 되면 통상 시험 발사 후 결과를 분석하고 수정·보완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시험 발사를 거듭하면서 어느 정도 검증하고 신뢰성이 확보된 다음에 필요에 따라 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북한의 잇단 순항미사일 발사를 보면 정확히 그 의도가 무엇인지 좀처럼 파악이 쉽지 않다. 북한이 최근 들어 심각하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게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권 명예교수는 "북한의 도발이 이렇게 상식을 벗어나 빈번하게 한 적은 없었다"면서 "북한이 최근 무엇을 쐈는지도 중요하지만 계속 쏘고 있는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급선무"이라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북한이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에 대한 실전 배치를 앞두고 최종 점검 훈련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양 총장은 북한이 10일 간 4차례에 걸쳐 잇달아 쏘고 있는 것에 대해 "북한이 과거에는 시험이든 훈련이든 약간 시차를 두고 했다"면서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이렇게 자주 하는 것은 기술력에 대한 상당한 자신감을 방증하는 것일 수 있다"고 관측했다.
양 총장은 한반도 정세적 큰 틀에서 판단한다면 "오는 3월 한미 연합훈련을 앞두고 경고성 무력시위로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양 총장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 고조와 관련한 대응에 대해 "중국을 중재자로 활용할 수 있는 그런 접근법을 좀 더 검토해야 할 단계로 보인다"고 제언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024년 1월 2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새로 개발된 잠수함발사 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 시험 발사를 28일 지도했다"고 발표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서해 NLL 무력 충돌 가능성 철저 대비"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요즈음 북한 발표를 보면 2025년 내년까지 국방발전계획을 기한 내에 마무리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정 센터장은 "김정은이 지난해 12월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와 2월 2일 남포조선소 현지 지도 보도에서 '유사시 전쟁 준비 지시'를 언급했다"면서 "최근 계속된 북한의 무력시위는 김 위원장의 전쟁 준비 지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 센터장은 "김정은이 '해상 주권' '해군 무력 강화'를 계속 언급하는 것은 북방 한계선(NLL)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을 시사한다"면서 "북한이 올해 NLL 무력화에 나서면 서해상에서 남북 간 무력 충돌 가능성이 커진다"고 내다봤다.
정 센터장은 "최근 북한의 무력시위는 통상적인 훈련 차원을 넘어 굉장히 심각한 위협"이라면서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해 5도에 대한 북한의 NLL 침범을 철저히 대비하고 북한 도발 땐 단호하지만 절제된 대응을 통해 확전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북한은 전술핵을 탑재하기 위한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을 2021년 9월 1500km 첫 발사에 이어 2022년 1월 1800km, 10월 2000km를 시험 발사했다.
2023년 2월부터는 사거리 1500km '화살-1형', 1800km~2000km '화살-2형'으로 추정되는 이름을 공개하기도 했다.
북한이 개발 2년여 만인 2024년 1월·2월에 사실상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화살-1·2형에 대한 전력화와 실전 배치가 임박했다는 것을 과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신형 잠수함발사 전략순항미사일(SLCM) '불화살-3-31형'까지 시험발사를 했다고 올해 들어 2차례 공개했다.
2023년 2월 첫 발사한 SLCM도 머지않아 몇 차례 성능 시험을 거쳐 '불화살-3-31형' 전력화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2022년 10월 이동식 발사대(TEL)에 이어 2023년 2월 지상, 3월 수중인 잠수함, 이번에도 잠수함에서 쏜 것은 지상과 수중에서 언제 어디서든지 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핵탄두를 탑재한 전략순항미사일을 사전 노출이 되지 않고 탐지가 어렵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로 관측된다. 전략순항미사일은 핵을 탑재해 공격하는 개념으로 1000~2000km를 날아간다.
북한은 2024년 1월 25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미사일총국이 24일 개발 중에 있는 신형 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 첫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전략순항미사일, 한미일 모두 심각한 위협
북한의 전술·전략순항미사일은 유사시 남한은 물론 한반도로 전개되는 미 증원 해군 전력을 비롯해 주일 미군기지까지 타격 대상이 된다. 한미일 모두에 심각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최근에는 순항미사일이 30~50m 저고도 수평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탐지가 쉽지 않다. 최고 속도가 마하 0.8~0.95 정도로 느리며 하나의 주요 목표에 대해 타깃한다. 주요 타깃을 정해놓고 저고도로 들어오기 때문에 탐지가 어렵다.
순항미사일은 전술·전략순항미사일이 있다. 300km까지 단거리, 300~1000km 중거리, 1000km 이상을 장거리라고 한다. 전략순항미사일은 장거리미사일로 사거리 1000km 이상을 의미한다.
북한의 '금성-1호', '금성-2호', '금성-3호' 등 금성계열은 현재 단거리 전술순항미사일로 분류된다. 북한은 사거리 200㎞ 이상의 함대함 순항미사일 배치를 2017년 시작했다. 함대함·지대함 겸용의 개량형 '금성-3호'를 2020년 배치 완료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북한 발표에 따르면 올해 들어 ▲1월 24일 신형 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 첫 시험 발사 ▲1월 28일 잠수함발사 전략순항미사일(SLCM) '불화살-3-31형' 발사 이름 공개 ▲1월 30일 1800~2000km급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등 이번까지 10일 간 4차례에 걸쳐 전략순항미사일 발사를 하고 있다.
북한은 ▲2021년 9월 12일 첫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2발 발사에 이어 ▲2022년 1월 25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2발 ▲10월 12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2023년 들어 ▲2월 23일 전략순항미사일 4발, '화살-1형' '화살-2형' 이름 첫 공개 ▲3월 12일 첫 SLCM 2발 ▲3월 22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4발 ▲7월 22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여러 발 ▲8월 21일 전략순항미사일 발사 ▲9월 2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2발 등 이번까지 13차례에 걸쳐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