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러시아 "우크라에 군 파병시 러-나토 충돌 불가피"

기사등록 : 2024-02-28 09:3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파병한다면 러시아와 나토의 직접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러시아 크렘린궁이 27일(현지시간) 경고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나토로부터 특정 파견대의 파병 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새로운 요소"라면서 "설령 이들 국가가 그렇게 할 관심이 없다고 하더라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 [사진=로이터 뉴스핌]

아울러 러시아와 나토 간 충돌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페스코프 대변인은 "가능성이 아니라 불가피성을 얘기해야 한다"며 나토 회원국의 우크라이나 지상군 파견이 러시아와 나토 간 충돌로 번질 것임을 경고했다.

이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전날(26일) 프랑스 파리에서 우크라이나 지원 국제회의 주재 후 우크라이나 지상군 파병이 동맹국들 간 합의된 게 아니지만 가능성 자체를 배제해선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에 대한 기자 질문의 답변이다.

앞서 같은 날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가 "여러 나토와 EU 회원국이 양자 기반으로 우크라이나에 부대를 파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돌발 발언이 논란의 불씨가 됐는데 마크롱 대통령이 바로 기름을 부은 격이다.

아나톨리 안토노프 주미 러시아 대사도 현지 매체 리아노보스티에 이번 전쟁이 당초 "서방이 우리를 상대로 촉발한 하이브리드 전쟁이란 맥락에서 (우크라이나 파병에 관한 발언은) 가장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 분명하다"며 "안보 불가분성 원칙으로 회귀하는 것이 (러시아와 서방 간) 충돌을 예방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안보 불가분성 원칙은 다른 국가의 안보를 희생해서 자국의 안보를 추구해선 안 된다는 원칙이다. 지난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나토를 끌어들여 자국 안보를 추구함으로써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하려 한다며 안보 불가분성 원칙을 이번 '특별 군사작전' 명분으로 내세운 바 있다.

한편 미국 백악관은 지상군 파견은 없다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며 파병설 논란 진화에 나섰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으며 독일,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폴란드, 체코공화국 등 나토 회원국들도 파병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wonjc6@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