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BYD 움직이자 완성차업계 '긴장'…현대차 전략과 비교해보니

기사등록 : 2024-03-16 07:2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배터리 내재화한 BYD vs 부품, 철강 보유한 현대차
수출 경험 적어 대중국 무역장벽 대처 어려울 것
"올해가 수출 가속화 원년인 만큼 긴장감 늦춰선 안 돼"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의 글로벌 진출 선언에 완성차 업체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전략을 비교해 보면 현대차는 시장 선점자로서의 글로벌 수출 시장 경험과 노하우, BYD는 배터리 내재화와 가격 등 각각의 강점이 뚜렷한 상황이다.

전기차 시장 침체 상황에서 중저가 모델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지금이 현대차가 저가 전기차 등 대중 모델 생산에 박차를 가할 적기라고 조언한다. 

현대차 미국 앨라바마 공장 전경 [사진=현대차]

◆BYD, 배터리 내재화부터 중저가 모델 경쟁까지 1석2조 사업구조

양 사는 수직 계열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두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가르는 것은 배터리 내재화 유무다. BYD가 1000만원대라는 파격적인 가격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었던 비결 역시 BYD의 기업 히스토리에 있다.

BYD는 배터리 제조업체로 시작해 자동차 제조업체로 몸집을 확장한 수직 계열적 구조로 저가 생산과 기술력을 동시에 가져가고 있는 기업이다. 가장 큰 경쟁력인 가격은 BYD가 직접 생산하는 배터리에서 나온다.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의 4~50%를 차지하는 주요 부품이다. 특히 BYD가 전기차에서 탑재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이미 양산 기술 측면에서도 앞서 있으며 현지(중국)의 원재료 매장량도 풍부해 공급망도 안정적이다.

현대차도 각종 부품사를 중심으로 수직계열화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배터리는 아직까지 내재화 추진 단계에 있다. 현대차는 지난 1월 18일 중국 간펑 리튬과 수산화리튬 장기 구매 계약을, 같은 달 10일에는 중국 성산리튬에너지와 수산화리튬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2020년 남양연구소 산하 배터리 개발 조직을 운영했고 이어 2021년 배터리 개발 조직을 통합해 '배터리 개발센터'를 출범하기도 했다.

상품 전략 측면에서도 차이가 난다. BYD는 1000만원에서 3000만원까지 저가형 모델이 주력 모델이다. 현대차는 제네시스 등 고급화 전략으로 고부가가치 전기차 부문에서 수익을 내고 있다. 또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양 측을 모두 방어하고 있는 현대차와는 달리 BYD는 전기차에 올인하는 분위기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시장 둔화를 겪고 있는 지금 프리미엄 전기차보단 중저가 모델의 판매 성적이 좋을 수밖에 없다"며 "중저가 시장에서 뺏긴 시장 점유율을 어떻게 방어할지 현대차가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조언했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6. [사진=현대차]

◆수출 경험 적은 BYD…對중국 정책 영향은 현대차에 유리 

BYD는 올해 전체 판매 목표치 400만대 중 40만대를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51만6441대였고 이중 78.3%(40만4530대)를 해외에서 판매했다.

공격적인 해외 진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것은 대중국 정책 등 외교 상황이다. 특히 미 인플레이션법안(IRA) 등 중국 기업에 대한 무역장벽 논의가 활발한 지금은 미국, 유럽 시장 진출이 더 쉽지 않은 상황. 

BYD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은 북미는 멕시코, 남미는 브라질에 거점을 마련하며 진출하고 있다. 특히 멕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로 미국 수출을 위한 핵심 생산지로 꼽힌다. 올 4월부터는 BYD의 생산 거점인 중국 선전과 멕시코를 잇는 직항선이 운영되며 해외 진출에 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지난 3월 초 의회는 이러한 BYD의 우회 정책을 견제해 중국 자동차 제조사가 생산한 자동차에 제조지역 관계없이 125% 관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BYD의 미국 수출이 잠시 주춤할 수는 있지만 진출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현대차의 글로벌 경험치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현대차는 수출 국가 공략, 현지 마케팅 정보 등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현지 공장 운영 및 수출 공급망 관리, 국가 정책에 대한 민감도도 현대차가 훨씬 높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이전까지 BYD는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던 기업이었으나 내수시장 침체에 따른 수출을 결정한 만큼 공격적으로 나오게 될 것이다. 미국 근처에 생산 기지를 마련하고 대중 정책이 완화될 시점에 바로 진출할 수 있게 준비할 것"이라며 "중국 시장은 글로벌 전체 생산량도 많고 시장 지배력도 우수하기 때문에 현대차가 긴장해야 하는 상황은 맞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차는 내연기관차 진출 당시부터 공략해온 시장을 전기차, 하이브리드차로 전환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전환 전략을 잘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beans@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