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에는 온라인 쇼핑, 이커머스 거래가 한국보다 훨씬 일상화돼 있다. 기자는 코로나 3년 동안 특파원으로 중국에 체류하면서 거의 이틀에 한번 꼴로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이용했다. 중국내 온라인 쇼핑의 장점을 꼽으라면 배송료가 없고 가격이 오프라인 상점보다 저렴하며 배달이 총알같이 빠르다는 점이다. 우리돈 600원(약 3위안)짜리 손톱깍기 하나를 구입해도 단품 주문이 가능하고 배송료 없이 익일 또는 당일에 물건이 배달될 정도다.
기자의 경우 주문한 물건을 배송 받고 난 뒤에 '이러고도 남는게 있을까'하는 느낌을 받은 게 한두번이 아니다. 알리바바와 징둥(京東)을 위협하는 중국 빅3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拼多多,한국 명칭 테무)는 특히 가성비 경쟁력이 뛰어난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유명하다. 2023년 어느날 핀둬둬 플랫폼에서 우리돈 1만 5천원에 삼각대를 구입했는데 물건을 받고 보니 크기가 성인 키만한게 사진관용 삼각대와 똑같았고 이 삼각대를 보는 사람마다 족히 4만원 짜리는 돼보인다고 말했다.
알리(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 같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무서운 속도로 잠식하면서 우리 업계의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기업들이 만든 제품을 중국기업이 부엌까지 배달해주는 시대가 됐다. 알리와 테무 쉬인 등 중국계 이커머스 3인방은 이미 쿠팡 활성 고객수의 50%를 넘어섰다고 한다. 중국 플랫폼의 약진에 놀란 우리 당국이 해외업체에 대한 규제와 감시를 강화한다는 얘기가 들린다.
하지만 제품및 서비스의 하자나 불공정 거래가 아닌 한 우리 업계의 생존위기를 이유로 알리나 테무의 융단폭격같은 시장 잠식을 막을 길이 없다. 어설픈 규제는 자칫 무역 보복을 부를지도 모른다. 지금 국경간 전자상거래는 디지털 무역이라는 이름으로 국제무역의 한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실제 알리 같은 회사는 첨단 물류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이용해 한국 중소기업의 해외 수출을 돕는 디지털 무역 대행 서비스도 수행하고 있다.
현재의 추세로 보면 중국 업체들이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지배 주자가 되는 업계 지각 변동도 그리 먼 훗날 얘기가 아닐 듯 싶다. 2024년 초 서울에서 만난 한국 온라인 쇼핑업체 책임자는 알리나 테무 같은 중국 업체 때문에 우리 업계가 벼랑 끝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며 불안감을 토로했다. 그는 앞으로 중국 지본에 M&A되는 업체가 많아질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남동부 장쑤성 우시에 있는 알라바바 그룹의 스마트 물류 계열사 차이냐오 물류 기지에 화물이 산더미 처럼 적재돼 있다. 화물 사이사이로 샤오란으로 불리는 AI 로봇 직원들이 운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 차이냐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물류 앱이다. 사진=뉴스핌 통신사 촬영. 2024.03.16 chk@newspim.com |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한국 영업이 급성장하는 배경에 대해 흔히 가성비를 거론한다. 가성비 라는 말에선 ' 싸서 좋은데 솔직히 품질은 많이 떨어진다'는 뉘앙스가 풍긴다. 워낙 싸니까 대충 쓰다가 버려도 손해가 아니다는 생각 같은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가성비의 중국산'에 대한 통념을 통째 바꿔야할지 모른다.
메이드인차이나도 싸구려부터 하이퀄리티까지 제품 구색이 무척 다양해졌다. 각자의 소비 경험에 따라 중국산 품질은 천차만별이다. 일률적으로 정의하기가 힘들다. 주목할 것은 전반적으로 중국산 품질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가격뿐만 아니라 품질 만족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중국 이커머스 업계 택배 기사들의 배송 서비스 친절도도 몰라보게 개선되고 있다. 중국에서 한두번만 온라인 쇼핑을 이용해보면 불친절하고 서비스 마인드가 결여됐다는 지난 한중수교 30년 동안의 대중국 선입견은 금새 사라지고 만다. 10년전만 해도 서비스와 IT분야는 중국의 한국 추격이 어려운 분야, '2% 부족'의 대표적인 요소였다. 하지만 이젠 농담으로라도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은 AI, 빅데이터, 혁신스마트 기술, 첨단 물류 시스템에 기반해 다양한 라인의 상품들을 최저 가격으로 최단 시간내에 확보해 저장 분류 배송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알리바바 그룹의 스마트 물류 자회사 차이냐오(菜鳥)는 산둥성 웨이하이에 평균 3일 배송 물류창고 시스템을 운영중이다. 공장 단계에서 상품을 저가에 구입하는데다 이런 첨단 시스템으로 배송시간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개선하다보니 제품 판매 단가가 싸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국내 알리는 산둥성 차이냐오 기지 등과 함께 2022년 한국에 구축된 차이냐오 물류 센터를 연계해 배송 효율과 시간을 계속해서 단축해 나가고 있다. 한국은 지리적 인접성 때문에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에게 앞마당 시장으로 여겨진다. 중국 이커머스 업체 입장에서 동쪽 산둥성 제조 공장과 물류 기지를 기준으로 할 때 한국은 중국의 어떤 도시 보다도 가까운 안방 시장이다.
알리익스프레스는 2024년 약 2600억 원을 들여 한국 현지에 대형 물류기지 건립을 추진키로 했다. 이 기지가 건립되면 더 싸고 좋은 물건을 짧은 시간에 소싱할 수 있고 택배 배송 시간도 훨씬 단축돼 경쟁력이 대폭 향상될 예정이다. 중국 이커머스 업계의 한국 시장 공략은 지금이 시작 단계인지 모른다. 알리같은 이커머스 업체는 공산품과 국내 가공식품에 이어 신선 식품으로 서비스 품목도 확대하고 있다.
코로나 기간동안 중국의 많은 기업활동이 휴면 상태로 들어갔지만 전자상거래 업체들만은 오히려 평소보다 분주한 시간을 보냈다. 코로나 확산으로 동네 소매점 영업까지 위축되고 비대면 거래가 일상화 하다보니 온라인 쇼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코로나는 경제에 큰 타격을 가한 반면 중국 이커머스 산업의 도약에는 절호의 기회가 됐다.
기자는 코로나 기간 동안 중국에서 특파원으로 재직하면서 알리바바 그룹과 알리바바의 첨단 스마트 물류 기지 차이냐오(菜鳥), 중국 2대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의 무인 배송체제와 징둥의 '아시아 1호' 종합 물류 기지를 모두 현장 방문해 취재했다. AI와 빅데이터 등 4차 산업 핵심 기술에 의해 구동되는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물류 배송 시스템은 눈이 휘둥그래질 정도였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남동부 장쑤성 우시에 있는 알라바바 그룹의 스마트 물류 계열사 차이냐오 물류 기지에서 직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장 보다 넓은 작업 현장에 직원이 단 둘뿐인 점이 눈길을 끈다. 중국 차이냐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물류 앱이다. 사진=뉴스핌 통신사 촬영. 2024.03.16 chk@newspim.com |
알리바바 그룹은 해외에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를 두고 있고, 첨단 스마트 물류 자회사인 차이냐오를 통해 이커머스를 전개하고 있다. 차이냐오(菜鳥)는 AI 빅데이터 인터넷 기술이 융합된 최첨단 기술집약 물류사업체다. 현재 200여개국에 네트워크를 두고 있으며 중국내에선 당일, 세계시장에선 3일 배송을 추구하고 있다. 알리바바를 중국판 아마존이라고 하는 이유도 바로 세계 최대 규모 스마트 물류앱인 차이냐오 때문이다.
차이냐오의 최대 강점은 자동화라인, 혁신 스마트 기술, 대량 화물 분류 지원, 최첨단 스마트 유통설비 등이다. 한국에서 알리가 초고속 성장세를 보이는 이유는 바로 이런 경쟁력에 의한 운용비 절감과 국경간 배송 시간 단축 때문이라고 할수 있다.
장쑤성 우시(無錫)의 차이냐오 물류 창고에 들어가면 입구부터 산더미 처럼 많은 화물이 까마득히 높은 선반에 적재돼있다. 운동장 몇 개를 합쳐놓은 것처럼 넓은 플로어에는 풍뎅이 처럼 생긴 납짝한 로봇들이 자신의 몸집보다 몇배나 큰 짐을 싣고 바쁘게 움직인다. 로봇의 이름은 '차이냐오 AGV 샤오란(小藍)'이다. 샤오란이라는 동명의 AI 로봇 직원은 이곳에만 모두 '1000명'에 달한다.
알리바바의 차이냐오 우시 물류기지는 중국 최초의 IOT 첨단 물류 현장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물류 혁명의 종합 경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알리바바 현장 책임자에 따르면 샤오란 로봇들은 입출고 정보를 가지고 주문 물건들을 스스로 파악해 해당 물건을 지시 받은 장소로 옮긴다.
샤오란 로봇들은 물류 창고내 모든 화물량을 자동으로 집계 분석하고 주문 제품 선별 작업까지 동시적으로 수행한다. 회사원들이 점심 식사를 하고 사무실로 복귀하듯 이들 샤오란은 혼자 알아서 충전을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스스로 판단해 업무에 복귀한다. 작업장 한쪽에 충전소가 설치돼 있다. 실시간 온라인 자동화 운반 분류 시스템으로 전환한 후 작업 효율은 전통 인공 물류 작업 당시에 비해 20%나 높아졌다.
알리바바는 코로나가 발생하기 일년전인 2018년 말 중국 최초로 우시에 IOT 미래 물류 파크를 설치하고 텐마오(天猫, 알리바바 프리미엄 이커머스 앱) 쐉스이(双11, 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영업 등에 대응하고 나섰다. 로봇 직원을 제외하고도 우시 스마트 물류 창고의 종업원은 40% 이상이 기술 분야 종사자다. 이때문에 우시 물류 파크는 단순한 물류 기지라기 보다 4차 산업 핵심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첨단 기술 사업장으로 불린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