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경제

옛말된 가족의 탄생…부모세대 "혼인이 미덕" vs 자녀세대 "혼자가 좋아"

기사등록 : 2024-03-19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980~1990년대 혼인 40만건 유지
자녀세대 혼인 절반 이하로 축소
혼인출산율 30%대 해외 사례 참고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결혼으로 가족을 일궈 사는 게 미덕이라는 전통적인 시각이 바뀌고 있다. 혼인 수요가 높았던 부모세대와 달리 현재 자녀 세대들은 홀로살이를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1980~1990년대 40만건 대비 현재 20만건 축소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한 해 혼인 건수가 40만명대를 기록하기 시작한 해는 1980년부터다. 

실제 1980년 40만3031쌍이 혼인을 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혼인 건수를 의미하는 조혼인율 역시 10.6건으로 10건대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조혼인율은 최고수준이다.

역대 우리나라 혼인건수 현황 [자료=통계청] 2024.03.19 biggerthanseoul@newspim.com

이후 1981년 40만6795건, 1982년 38만7468건 등으로 40만명 안팎을 유지해오다 1996년 43만4911건으로 치솟았다. 

사실상 1980년 초반부터 1990년 중반까지 혼인건수가 많았고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국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지속적으로 혼인 인구가 감소했다.

실제 지난해 혼인 건수를 보면 19만4000건(조혼인률 3.8건)을 기록했다. 현재 혼인연령이 30세를 훌쩍 뛰어넘다보니 이들의 부모세대는 1980~1990년대 혼인한 부모세대의 자녀인 셈이다.

부모세대의 절반도 안되는 혼인 건수를 기록하고 있을 뿐더러 조혼인율은 3분의1 수준에 가까울 정도다. 

인구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측면도 있지만 성인이 된 자녀세대가 결혼할 생각이 없다는 게 혼인 건수 감소의 요인으로 꼽힌다.

보령시청 민원실을 찾아 혼인신고를 하는 신혼부부에게 축하 증서를 전달하고 있는 모습. [사진=보령시] 2023.12.22 gyun507@newspim.com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8월 8~25일 전국 만 19∼4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법률혼 상태가 아닌 1059명 가운데 51.7%의 응답자가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절반 가량이 결혼 의향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아예 '결혼을 할 생각이 없다'고 말한 응답자는 24.5%에 달한다. 사실상 혼인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꾸리기보다는 '홀로살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21년부터 혼인건수가 19만명대가 이어지고 있는데, 혼인에 대한 가치관 등 여러 요소 때문에 혼인이 증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쉽지 않은 부분"이라며 "다만 30대 초반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혼인에 대한 정책들이 이어지는 만큼 추가 증가도 불가능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빠르게 줄어드는 인구 감소의 선행지표…혼인출산율에 매몰된 한국사회

인구학 분야 전문가들은 인구를 늘리기 이전에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2명의 자녀를 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남녀가 혼인해 1명만 낳을 경우, 결과적으로 인구 감소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2023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를 보면,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연 0.72명이었으나 4분기 기준으로는 0.65명을 나타냈다. 처음으로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진입해 올해 역시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의 경우, 혼인 건수가 전년대비 2000건(1.0%) 늘어나긴 했지만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때 연기했던 수요가 집중됐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수치상으로 일시적인 혼인 건수 증가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더구나 전체적으로 혼인 건수가 감소 추세로 이어질 경우에는 인구절벽 현상을 더 앞당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일부에서는 '혼인=출산'이라는 공식에 한국 사회가 매몰됐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제기한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2020년 기준 혼인출산율을 보면, ▲한국 98% ▲일본 98% ▲폴란드 73.6% ▲이탈리아 66.2% ▲미국 59.5% ▲영국 51% ▲덴마크 45.8% ▲스웨덴 44.8% ▲프랑스 37.8% ▲아이슬란드 30.6% 등으로 나타났다.

혼인출산율이 30%대인 프랑스와 아이슬란드는 비결혼 출산율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우리나라나 동양 문화권에서는 비결혼 출산에 대한 인식부터가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미혼모 자녀를 키워낼 수 있는 사회적인 안전망이나 지원 자체도 부족하다는 게 끊임없이 지적돼 왔다.

한 인구학분야 전문가는 "가족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번 되돌아봐야 하며 근본적으로 인구 전반의 문제에서 시대의 흐름을 살펴봐야 한다"며 "최종 목표는 인구 증가이긴 한데, 경제·사회적인 문제 하나하나를 뜯어보고 그 상관관계의 변화를 읽어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