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시승기] 움직임은 가볍게, 연비는 높게…현대차 스타리아 하이브리드

기사등록 : 2024-03-22 08: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고 연비 13km…정체구간 제어로 연비 조절
쾌적한 실내 공간이 매력…릴렉션 시트로 '눕기' 가능
풍절음 차단은 아쉬워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가볍고 묵직하다. 연비가 나쁘다는 대형차의 선입견을 깬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다목적차량(MPV) 스타리아 하이브리드를 직접 타봤다.  

20일 오전 스타리아 라운지 하이브리드 7인승 풀옵션 차량을 타고 현대 고양모터스튜디오에서 출발해 파주의 한 카페까지 23km 정도를 시승했다. 내부 기능을 살펴 보기 위해 파주까지는 조수석에, 돌아오는 길에는 2열에 탑승했다.

현대자동차의 스타리아 라운지 하이브리드 7인승 차량. [사진=조수빈 기자]

◆디젤 모델보다 높아진 연비, 덜어낸 소음

하이브리드 모델로 변화하면서 느껴진 차이점은 실내 공간의 쾌적함이다. 과거보다 시내 주행 시 느껴지는 시동음이나 외부 소음이 많이 차단된 것이 느껴진다. 80km까지는 배터리와 전기모터의 힘만으로 가동됐는데 정지 후 출발할 때 외에는 거의 소음이 없었다. 움직임도 상당히 가볍다. 핸들도 묵직한 편이라 속도가 올라가도 차량이 흔들린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고속 주행을 주력으로 하는 차량이 아니기에 엑셀레이터의 묵직함이나 핸들의 감도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대차는 스타리아 하이브리드에 1.6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을 적용해 최고 13km/ℓ의 연비를 기록한다. 시스템 최고 출력은 245마력(엔진 최고 출력 180마력), 시스템 최대 토크는 37.4kgf∙m(엔진 최대 토크 27.0kgf∙m)다.

실제로 고양시에 도착한 시점에서 체크한 연비는 13km/ℓ 내외. 기존 디젤 엔진이 유사한 사양에 10km/ℓ 수준의 연비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편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스타리아는 통합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해 방전될 경우에도 자체 리셋 버튼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겨울철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거나 장기간 실내 라이트를 켜놓아 방전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옵션이다. 1열 무릎 쪽에 리셋 버튼이 있다.

스타리아 하이브리드의 특화 사양인 '정체구간 특화 제어'도 연비 조절에 기여한다. 정체구간 특화 제어는 내비게이션 도로 정보와 차량 주행 상태를 종합해 저속 정체구간에서 변속 패턴과 엔진 시동 시점을 전략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이다. 가속과 감속에 따른 불필요한 조작을 줄여줘 운전자의 피로도와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현대차 스타리아 하이브리드 내부 모습.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의 스타리아 라운지 하이브리드 7인승 차량 내부 2열. 프리미엄 릴렉션 기능을 위한 원터치 버튼으로 등받이와 좌석을 함께 눕힐 수 있다. [사진=조수빈 기자]

◆'누울 수 있는' 패밀리카…풍절음은 아쉬워

차량 제원상 크기는 전장 5255mm, 전폭 1995mm, 전고 1990mm, 축거 3275mm 등으로 디젤 모델과 같다. 카니발보다 축간 거리가 185mm 더 길어 실내 쾌적도로는 스타리아가 더 낫다고 느껴졌다. 

7인승이지만 6명이 탑승한다면 각자 전혀 방해받지 않는 개인공간을 가질 수 있을 만큼의 쾌적함이다. 2, 3열은 말 그대로 '누워도 될 정도'로 넓었다. 누울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기능은 릴렉션 시트다. 2열에 있는 프리미엄 릴렉션 시트는 각 시트의 안쪽에 있는 터치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등받이와 좌석이 함께 기울어지면서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머리 양쪽을 고정해주는 시트도 상당히 푹신했다. 

3열은 앞 뒤로 넓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 탑승객 수를 조정하거나 화물 적재에 유리해 보였다. 차량 높이도 쾌적함에 한몫 했다. 어느 곳에 앉아도 수납이나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도 나이에 무관한 탑승객을 고려한 옵션으로 느껴졌다. 패밀리카로 적합하겠다는 생각이 든 지점이다. 

아쉬운 점은 풍절음 차단과 덜컹거림. 시내주행 때는 느끼지 못했던 소음이 고속도로부터 급격히 느껴지기 시작했다. 운전석과 2열 간의 거리가 있어 고속도로에 진입하면서는 대화가 어려웠다.

노면이 울퉁불퉁해지면서 위아래로 몸의 들썩임도 심해졌다. 코너링 시 양 옆으로 쏠리는 현상은 거의 없었지만 방지턱이나 노면이 매끄럽지 않으면 몸이 좌석에서 떨어지는 때가 있었다. 주행 시 기어는 버튼식으로 되어 있는데 버튼식 조작은 운전 실수를 초래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현대차 신차들처럼 칼럼식이나 기어 레버를 채택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스타리아 하이브리드의 가격은 4946만원으로 기본 하이브리드 라운지 7인승 인스퍼레이션은 4614만원, 빌트인캠(59만원),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64만) 등 옵션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다. 색상은 크리미 화이트, 그라파이트 그레이 메탈릭, 문라이트 블루펄 등 5종의 외장 색상과 블랙모노톤, 그레이, 브라운, 블루 등의 내장 색상으로 출시됐다.

beans@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