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루닛, 미국암학회서 'HER2 발현 유전자 변이' 분석결과 발표

기사등록 : 2024-04-01 09:1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오는 5~10일(현지 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4 미국암학회(AACR 2024)'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최신 연구성과 7건을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주요 연구 결과로 총 19만4259개의 환자 샘플을 통해 ERBB2 유전자 변이와 HER2(인간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발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내용을 공개한다. HER2 발현 수준은 암 치료 방법 선택과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연구진은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이를 측정했다.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AACR 2024 포스터 [사진=루닛] 2024.04.01 sykim@newspim.com

연구 결과 특정 ERBB2 변이 유형을 가진 암 세포에서 HER2가 더 강하게 발현됐다. 특히 ex20ins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와 S310x 변이를 가진 요로상피암, 비소세포폐암, 유방암 환자에서 두드러졌다. 루닛은 이번 연구를 통해 암 세포에서 HER2 단백질을 많이 발현시키는 유전자 변이를 찾아냈다. 

아울러 루닛은 지놈앤컴퍼니와의 협업해 18가지 암종, 795개 암 환자 샘플에서 AI 기반 면역조직화학(IHC) 분석을 통해 CNTN4와 면역항암제의 대표적인 바이오마커 PD-L1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연구에 따르면 간세포암, 자궁내막암, 위암, 췌장암, 전립선암 등의 암종에서 CNTN4 발현이 가장 많이 발생함을 확인했다. CNTN4 발현율이 높은 모든 샘플에서 낮은 PD-L1 발현율이 관찰됐다. 

또 다른 협업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 대상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에 대한 반응성과 CNTN4 발현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45명의 환자들을 CNTN4 및 PD-L1 발현 수준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분류한 뒤 치료 반응을 평가했다.

그 결과, CNTN4 발현율이 낮고, PD-L1 발현율이 높은 환자는 키트루다에 긍정적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객관적 반응률(ORR)은 64.3%로 나타났다. 반면 CNTN4와 PD-L1 발현이 모두 높은 환자들은 0%의 ORR을 보였으며, 키트루다 비반응 환자군은 반응 환자군에 비해 PD-L1 발현율이 낮고, CNTN4 발현율이 높았다. 

CNTN4 발현율이 더 높은 환자군은 평균 9.73개월의 무진행 생존기간(PFS)과 평균 2.1개월의 전체 생존기간(OS)을 보여 다른 환자군 대비 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CNTN4가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AI가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식별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올해 AACR 학회에서는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갖거나, 특정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더 효과적인 옵션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범위를 확장했다"며 "우리의 목표는 AI로 맞춤형 암 치료를 현실화하는 것이며, 이번 학회의 연구 성과들이 그 가능성을 한층 더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sykim@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