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4-02 15:00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MBC 'PD수첩'이 '기업살인'을 노리는 댓글부대의 실체를 파헤친다. 2일밤 9시 방송되는 '기업살인과 댓글부대'편에서 댓글부대의 여론조작 과정을 심층 취재하여 공개한다.
연매출 210억의 유아매트 1위 업계였던 크림하우스는 투명한 공정 과정과 디자인적인 요소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크림하우스 거 쓰는 분들 어째요... 차라리 A사 매트 쓰지..." - 댓글 중 일부
그랬던 크림하우스는 끊이질 않던 소비자들의 '댓글'로 인해 아이의 아토피를 유발하고,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유해물질 덩어리로 전락했다. 댓글들은 크림하우스 매트를 물어뜯으면서도 공포에 질려있는 소비자들에게 다른 해결책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유아매트를 제조하는 또 다른 회사, A사의 매트를 추천해 주는 것이다.
"아무리 저래도 진실은 밝혀집니다." - ID '왈도와 고도'
'왈도와 고도'는 평범한 소비자와는 조금 다른 모습을 보였다.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거나, 크림하우스에 너무나 적대적이었다. 심지어는 매트의 유해물질 검사를 직접 맡기기까지 했다. 그러던 중, 크림하우스는 '왈도와 고도'의 정체를 특정할 수 있는 증거를 발견하게 된다. 증거는 다름아닌, '왈도와 고도'가 올린 크림하우스 매트 검사 결과지였다. 검사 결과지에서 미처 지워지지 않은 이름의 주인은, 댓글들이 추천하던 A사에 근무하는 직원의 가족이었다.
A사는 2015년까지만 해도 유아매트 1위의 업체였다. 그러나 크림하우스가 2015년부터 승승장구를 시작하며, 2016년이 되어서는 A사를 꺾고 매출액 1위를 달성하며 업계 2위로 밀려났다. '왈도와 고도'와 A사의 연관성을 발견한 크림하우스는 즉각 A사의 수사를 의뢰했고, 압수수색 결과 더 큰 공작의 과정이 밝혀졌다. 크림하우스에 울분을 토하던 무수한 항의 소비자들의 정체는 A사와 계약한 한 광고 대행사의 대포 계정들이었다. 거기다, A사는 크림하우스의 친환경 인증 취소 2주 전부터 치밀하게 댓글로 여론 조작을 시도하고 있었던 것이다. 약 8개월 동안 이루어진 댓글 공작이었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