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오피니언

[기자수첩] 의사의 상처, 국민의 상처

기사등록 : 2024-04-03 10:1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 사이의 힘겨루기가 시작된 지 7주째에 접어들었다. 지난 1일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대화의 여지를 남겨 뒀다. 의료계의 통일된 안,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오라는 주문이다. 정부 관료들도 미디어에 출연해 의료계가 대화의 장으로 나올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의료계는 이에 무대응 중이다. 의대교수단체는 대통령에게 상처 입은 전공의들을 먼저 안아달라고 요구했다. 중국 속담에 얼음이 삼척이나 언 것은 하루 추위로 된 게 아니라는 말이 있다. 7주나 맹추위가 몰아쳤으니 대화를 시작하려면 따뜻한 포옹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조준경 사회부 기자

그런데 이번 의정갈등으로 인해 과연 의사만 상처를 입었고 그들의 마음만 얼어붙었을까?

의료계는 정부와 미디어에 의해 의사들이 직업적 자긍심과 자존감에 큰 상처를 입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번 일로 의사 직군 전반에 흐르는 어떠한 집단적 관념이 새어나온 것 같다. 그리고 그로 인해 국민들도 상처를 입었다.

첫번째는 사법부의 법 집행 가능성에 대해 '의사에 대한 정면도전'을 경고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 지난 2월 17일 결의문이었다. 정책을 시행하는 주체는 국민이 선출한 권력이다. 사법부 역시 국민이 법치를 위해 위임한 권위를 가진다. 정부를 향한 의료계의 첫번째 포문에서 일반 국민들은 의사 집단과의 묘한 위화감을 느꼈다.

두번째는 '자발적 집단사직'한 수련병원 전공의들이다. 자신의 의사를 관철하기 위해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듯 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나온 발언들이 지혜로웠는지는 모르겠다.

"내가 없으면 환자도 없다" "용접을 배우겠다" "포도 농사를 짓겠다" 등 여러 말들이 나왔다. 화가 난다고 자신이 선택한 직업을 쉽게 관두고 다른 일을 하겠다는 만용을 부릴 수 있는 집단이 얼마나 있는가? 다수 국민들은 이미 보장된 '면허'가 있는 이들의 여유로부터 모멸감을 느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상처를 입은 것은 환자들이다. 병원마다 수술을 대폭 축소하거나 연기했고, 병동을 폐쇄하고 있다. 목숨을 구걸하게 만드는 것보다 인간 존엄에 상처를 남기는 것은 없다. 중증질환에 생명이 경각에 달려 있는 환자들은 이번 의료대란 사태 최대 피해자들이다.

이번 사태로 국민들은 전공의들이 받는 열악한 처우를 알게 됐다. 잘못된 보상체계를 손보기 위해 필요했던 움직임이었을 수도 있다. 문제에 대한 공통 인식이 생겼으면 개선의 가능성도 나온 것이다. 그러나 의료계가 지금과 같이 강 대 강 대치를 고집한다면 무엇이 남을지 모르겠다.

서울대병원은 비상경영체계에 돌입했다. 다른 여러 수련병원들도 전공의 공백으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다. 국민 모두가 함께 쌓아 올린 대한민국 의료가 무너질 위기에 놓였다.

기존의 수련병원 체계는 모두 붕괴돼 결국 돌아갈 곳도 사라진다. 1만 3000여명의 사직 전공의들은 일반의로 개원 경쟁시장의 참여자가 될 것이다. 설령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병원들을 살려 놓는다 해도, 그때 가서 국민들의 의사에 대한 존경심이 남아 있겠나? 독점 면허의 집단 위력으로 끝내 관철했다 한들 그게 진짜로 이긴 것인지 되묻고 싶다.

신임 의협회장 당선인이 의사와 환자의 라포(rapport)를 언급했다. 라포는 상호신뢰관계다. 의사가 의술을 베풀듯이 사회 모든 구성원이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하며 살고 있다. 의사가 라포를 형성할 수 있는 곳은 의료현장 밖에 없다. 돌아와서 국민 마음에 생긴 상처를 싸매야 한다. 치료는 의사의 전문 영역이다. 

calebcao@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