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정부 "원전 등 무탄소 에너지로 탄소 지속 감축…CFE 이니셔티브 확산 지원"

기사등록 : 2024-04-07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탄녹위-환경부, 2018~2023년 온실가스 배출 분석
전환·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2년 연속 감소
5년간 무탄소 발전량 68.1TWh 증가…원자력 69%
"에너지 전환 실효…'CFE 이니셔티브' 국제 확산"
정부, 산업부문 경쟁력 강화에 450조원 이상 투입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최근 늘어난 전력 수요를 무탄소 에너지로 감당하면서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2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무탄소 발전량은 2018년 대비 2023년 68.1테라와트시(TWh) 증가했고, 이 중 원자력 발전이 69%를 차지했다.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5450만톤으로 전년대비 2210만톤 감소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환경부는 '제1차 격년투명성보고서(BTR)' 및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의 수립 추진을 위해 2018~2023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전원별 발전량(2023년은 한전 월보 참고), 주요 업종 제품 생산량 등의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자료=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2024.04.06 sheep@newspim.com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환·산업·건물·수송 등 7개 부문에 걸쳐 집계된다. 이번 분석에서 지난해 발생한 온실가스는 간접지표를 통해 주요 4대 부문인 전환·산업·건물·수송만 추정됐다.

정부는 전환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3년 2억370만톤, 2022년 2억1390만톤으로 각각 1년 전보다 4.8%, 4.4% 줄어든 점을 강조했다. 무탄소 발전량은 2018년 대비 2023년 68.1TWh 증가, 같은 기간 동안 증가한 전력 소비량 17TWh를 무탄소 에너지로 부담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무탄소 발전 증가량(68.1TWh)의 69%(47TWh)는 원자력, 31%(21.1TWh)는 신재생 발전이었다.

원전 복원, 재생에너지의 확대 등으로 이뤄진 무탄소 에너지 전환 정책이 효과를 거뒀다는 것이 정부 분석이다. 정부는 "이러한 에너지 전환의 실효성을 바탕으로 '무탄소 에너지 주류화(CFE 이니셔티브)'의 국제적 확산도 함께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FE 이니셔티브는 재생에너지 전력을 100% 사용해야 하는 'RE100' 대신 원자력·수소발전 등으로 탈탄소 에너지를 추구하는 국제운동이다.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소 요인은 철강업계의 노후 고로 폐쇄, 정유업계의 보일러 연료 전환, 반도체업계의 불소 처리 증가 등 체질 개선 노력으로 분석됐다. 연간 산업 부문 온실가스는 2018년 2억6080만톤, 2019년 2억5640만톤, 2020년 2억4680만톤, 2021년 2억6220만톤, 2022년 2억4580만톤, 2023년 2만4470만톤이었다.

정부는 탄소중립 100대 기술 개발 및 수소환원제철 실증 등을 추진, 산업 부문 녹색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자금 450조원 이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자료=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2024.04.06 sheep@newspim.com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 기준 6억5450만톤(잠정)으로, 2021년 대비 2210만톤 감소했다.

지난해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년)을 통해 2021년 발표된 2030 NDC(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다른 방향의 발전원별 발전량 비중을 설정했다. 제10차 전기본에서 제시된 2030년 원전 발전량 비중은 32.4%, 신재생 에너지 21.6%, 석탄 19.7%, 액화천연가스(LNG) 22.9% 등이었다. 2030 NDC 발전량 비중을 보면 원전은 23.9%, 신재생은 30.2% 등이었다.

정부는 지난 결정을 두고 "2021년 발표된 2030 NDC에는 최대 재생에너지 발전 가능량, 바이오 납사 원료 수급 곤란, 수소혼소기술 상용화 지연 등 비현실적 감축 수단이 포함됐다"며 "에너지 전원별 비중, 산업 부문 연원료 전환 비중 등을 조정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제고했다"고 이날 설명했다.

이어 "그간 (온실가스 감축 정책에서) 고려되지 못했던 기술 개발 소요 기간, 인프라 본격 가동 시기 등을 반영해 목표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감축이 가속화되도록 연도별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고 덧붙였다.

sheep@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