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전공의 떠난 현장 교수들 '76%'가 신체·정신적 어려움 호소

기사등록 : 2024-04-08 15:1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충남의대 비대위 자체 설문 "4주 내에 한계 도달"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정원 증원으로부터 촉발된 전공의들의 '자발적' 집단 사직 사태가 8주째 지속되는 가운데, 현장에 남아 있는 의대 교수 상당수가 신체·정신적 고통을 토로하고 있다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8일 '충남의대·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 교수 76% 이상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 호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래프=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충남의대 비상대책위원회 내부 설문조사

전의교협에 따르면 충남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소속 교수들을 대상으로 지난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업무 강도 및 신체·정신적 상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에는 비대위 소속 교수 중 253명이 참여했다.

[그래프=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충남의대 비상대책위원회 내부 설문조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공의 사직으로 인해 교수들의 86.9% 이상이 주 52시간 이상 근무를 하고 있었고, 80% 이상이 24시간 연속근무 후 다음날 주간에 12시간의 휴식이 보장되지 않았다.

현재 의료 상황에서 교수들의 신체∙정신적 상태를 1점(매우 좋음)에서 7점(완전히 소진됨)까지 조사한 결과, 뚜렷한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5점 이상의 비율이 각각 76.3%와 78.3%을 나타내고 있었다.

비대위 측은 "거의 번아웃 상태임을 보여준다"며 "현 의료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업무 강도의 증가가 신체적 어려움을 나타내게 됐다면, 정신적 어려움은 대부분 교수들이 정부로부터 유발된 정책 결정에서 전문가임에도 철저히 부정당한 느낌, 근거가 없는 감정적 폭언, 국민의 갈라치기, 그리고 인권 유린 등으로 인해 그들의 사명감을 빼앗겨, 이로 인한 허무감과 우울감이 주요 원인이 됐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이번 조사의 응답자의 89%가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신체∙정신적 한계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으며, 62% 이상이 한계에 도달하는 기간을 4주 이내라고 응답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료진과 환자 안전을 위해 최우선으로 단계적인 진료 축소를 병원과 논의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calebca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