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부동산

11개월째 치솟은 전셋값 더 오르나...아파트 전세물량 연중 최저치 '뚝'

기사등록 : 2024-04-19 06: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 아파트 전세물량, 전년 말 대비 14% 줄어
매수심리 저조, 빌라 전세사기 여파 등 영향
입주물량 줄고 갱신청구권 만료에 전세시장 불안 가중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계절적 수요와 주택시장 불안 등으로 아파트 전세 물량이 연중 최저치로 감소하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데다 빌라 전세사기가 끊이지 않으면서 아파트 전세로 몰리는 수요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신규 입주물량 감소, 임대차법 계약갱신청구권 만기 도래 등도 전세시장 불안이 더욱 가중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 서울 아파트 전세물량, 전년 말 대비 14% 감소...연중 최저치

19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물량은 3만 750건으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3만5000건)과 비교하면 14.3%, 한 달 전(3만2742건)과 비교해 5.9% 줄었다.

한 달 새 서울지역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지역은 성동구다. 이 지역의 전세물량은 1082건에서 915건으로 15.5% 줄었다. 은평구는 720건에서 617건으로 14.4%, 서대문구와 영등포구는 각각 547건에서 469건으로, 1215건에서 1042건으로 14.3% 감소하며 뒤를 이었다.

주택시장에서 전세수요 증가로 전셋값 불안이 장기화하고 있다. 서울 여의도 아파트 모습. [사진=김학선 기자]

강남권도 전세 성수기인 봄 이사철을 맞아 물량이 감소세를 보였다. 강남구는 전세물량이 7527건에서 6769건으로 10.1%, 송파구는 3425건에서 3128건으로 8.7% 줄었고 서초구는 3898건에서 3923건으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작년 5월부터 지난달까지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 기간 매맷값 변동률이 약보합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전셋값은 5% 정도 올라 대조를 이뤘다. 이달에도 주간단위로 오름세를 이어가 12개월 연속 상승이 유력하다.

고금리 장기화로 매매 대신 전세로 이동하는 수요가 늘어난 데다 정부의 전세자금 대출 지원으로 상대적으로 자금 조달이 쉬워진 것도 전세수요가 늘어난 이유다.

빌라·다세대를 중심으로 끊이지 않는 전세사기도 아파트 전세수요가 늘어난 원인으로 풀이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사고액은 1조435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상당수가 빌라·다세대에서 발생했다. 비아파트는 정확한 시세파악이 쉽지 않고 담보물권이 전셋값을 충당하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안정적인 전세금 반환을 위해서는 세입자들이 아파트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 신규 입주물량 줄고 갱신청구권 순차적 만료...전세시장 불안 가중

신규 입주물량 감소, 임대차법 계약갱신청구권 만기 등으로 전셋값 불안이 당분간 지속될 공산이 크다.

고금리와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정비사업의 수익성이 낮아진 여파로 아파트 신규 입주가 대폭 줄어든다.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2025∼2027년 향후 3년간 전국에서 45만2115가구가 입주를 앞둔 것으로 조사됐다. 이전 3년(2022∼2024년)간 입주물량 103만2237가구의 절반을 밑도는 43.8% 수준이다.

2020년 7월 31일 시행된 계약갱신청구권이 도입 4년차를 맞아 순차적으로 만기가 도래한다는 점도 전셋값 불안을 야기하는 부분이다.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하면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계약된 것으로 보고, 갱신되는 임대차의 기간은 2년이 보장된다. 총 4년을 거주할 수 있는 것으로 보증금은 종전 금액의 5% 범위 안으로 높일 수 있다. 최근 전셋값 상승분을 감안할 때 임대차 계약 연장을 위해서는 상당한 보증금 증액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주택 수요층의 관망세가 이어진 데다 봄 이사철, 수급 불균형 등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고금리 장기화, 신규 입주물량 감소 등으로 전세시장 불안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