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의료 파업에 주목 받는 '원격·비대면'...제약·바이오, '디지털헬스케어' 사업 확장

기사등록 : 2024-04-23 08:3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롯데헬스케어, 체중관리 서비스 출시 앞둬
연평균 18.8% ↑…모바일 헬스산업 규모 커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장기간의 의료 파업으로 건강 관리와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다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업들이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디지털헬스케어를 미래 먹거리로 꼽고 사업을 본격화할 채비를 갖췄다. 한미약품그룹은 지난 2월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추진 태스크포스(TF) 발대식'을 갖고 예방 및 관리, 진단, 치료 등 영역에서 융합할 수 있는 다층적 디지털 헬스케어 비즈니스를 추진한다고 선언했다.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디지털헬스케어 사업추진 TF 발대식 [사진=한미그룹] 2024.02.20 sykim@newspim.com

2022년 KT와 함께 디지털치료제·전자약 전문기업 '디지털팜'에 합작 투자한 한미약품은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통해 비만 환자의 생활습관과 복약 순응도 교정이 가능한 디지털의료기기 융합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 또한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를 낙점하고 지난해 사업 추진단을 출범한 바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발굴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의료현장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 충족에 주력하겠다는 목표다.

동아쏘시오홀딩스 관계자는 "동아에스티는 디지털 헬스케어 해외 시장 강화를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메쥬와 '심전도 원격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 하이카디플러스, 라이브스튜디오의 해외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며 "동아제약은 최근 이마에 붙어 사용하는 웨어러블 형태의 편두통 완화 의료기기 '솔루메디-M'을 출시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일찌감치 뛰어든 GC녹십자는 2020년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MR) 공급 사업을 진행하는 유비케어를 인수하며 사업에 진출에 속도를 냈다. 유비케어는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 기업인 아이쿱의 지분을 인수했고, 모바일 병·의원 진료 예약 플랫폼 '똑닥'을 개발한 비브로스에도 투자하며 디지털 헬스케어를 아우르고 있다.

자회사 GC케어는 2022년 건강관리 플랫폼 '어떠케어'를 출시하고 건강검진 예약 기능과 이상증상 발생 시 질환 예측, 걸음 수 채우기, 운동·영양 프로그램 등 다양한 맞춤케어를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헬스케어' 전문 기업들은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지난해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 '캐즐'을 출시하며 사업을 시작한 롯데헬스케어는 올 상반기 '체중관리 서비스' 선보일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자회사 테라젠헬스의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키트를 캐즐에서 만나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편한다.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롯데헬스케어 캐즐2024.04.22 sykim@newspim.com

롯데헬스케어 관계자는 "헬스케어 서비스 확장을 위해 주로 IT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비용을 투자한다"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고령화 속도도 빠른 만큼 플랫폼 가입자 확보를 통해 수익성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당뇨 관리를 겨냥한 헬스케어 서비스 '파스타'를 운영하고 있다. 실시간 혈당 측정을 위해 연속혈당측정 글로벌 1위 업체인 미국 덱스콤과 국내 아이센스와 계약을 맺고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 연동으로 연속혈당측정기를 파스타 앱과 연동했다. 앱을 사용하려면 연속혈당측정기를 구매해야 하며 별도의 앱 이용료는 없다. 인슐린 펜과 호환되는 노보노디스크와 바이오콥의 '말리아 스마트 캡'을 파스타 앱에 연동하는 서비스도 내놓을 예정이다.

의료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 서비스'에 주력하는 기업들도 눈에 띈다.디엑스앤브이엑스는 최근 웹기반의 비대면 진료 중계 플랫폼 'KHUB 비대면진료' 오픈 베타서비스를 열고 파트너 사전등록을 시작했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GIA(Global Industry Analysts)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2020년 1525억 달러 규모에서 2027년 5088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8.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모바일헬스 산업이 864억 달러(57%)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의료 파업을 계기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사업의 종류가 다양해 수익 창출 방안도 제각각 일 수밖에 없다"며 "아직 국내 시장 규모가 작아 수익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헬스케어 트렌드에 대응하며 장기적인 수익 모델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ykim@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