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부동산

워크아웃 돌입 태영건설...정상화까진 '산 넘어 산'

기사등록 : 2024-05-01 11: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로 도산 위기까지 몰렸던 태영건설이 일단 한숨을 돌렸지만 여전히 경영 정상화까진 '넘어야할 산'이 많다는 진단이 나온다.

태영건설을 괴롭히는 PF 부실이 부동산시장 침체가 시작된 2022년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것임을 감안하면 여전히 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워크아웃 졸업까진 적지않은 고난이 있을 것이란 지적이다. 특히 태영건설이 보유한 PF사업장 구조조정에 따른 진통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만큼 이로 인한 사내 불화도 심화될 것이 예상된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날 기업 재무구조개작업(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된 태영건설이 경영 정상화까지 가기 위해선 아직 고비가 많이 남았다는 진단이 나온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사업성이 있는 건 죄다 팔아야하며 사업이 안될 만한 PF만 남을텐데 이에 대한 정리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과 윤석민 회장이 '태영건설 워크아웃' 관련 기자회견에 입장하는 모습

태영건설의 PF사업장은 총 60곳이다. 이중 본PF가 진행되는 곳은 40곳이며 아직 브릿지론 단계인 곳은 20곳이다. 채권단은 본PF 40곳 중 32곳은 사업을 이어가고 나머지 8곳은 시공사 교체와 경·공매를 통해 처리할 방침이다. 브릿지론 사업장은 1곳만 사업을 유지하고 나머지 19곳은 시공사 교체 또는 경·공매 절차에 돌입한다.

이 과정에서 태영건설의 손실이 커질 수 있다. 경·공매로 부실 사업장 정리에 나설 경우 토지의 경우 기존 가격의 50~70% 수준에서 매각된다. 쉽게 말해 '손절'로 빚부터 갚아야하는 실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부동산 시장 침체로 경매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낮은 상황이라 경매 절차 지연 가능성도 있다. 채권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경공매에 나온 PF사업장 매물은 '제값'을 받지 못하는 게 통상적인 상황이다. 

브릿지론 단계인 성수동 사업장이 대표적인 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2가 268-2번지 일원에 지하 6층~지상 10층 규모의 연면적 2만1420㎡(6480평)의 업무시설을 짓는 이 사업장은 태영건설이 보유한 브릿지론 사업장 가운데 최대 알짜로 꼽힌다. 하지만 최근 이지스자산운용이 이를 인수하며 태영건설의 '품'을 떠났다. 

성수동 오피스 사업에서 이지스자산운용과 태영건설이 '결별'한 것을 시작으로 양사가 각각 시행·시공을 맡고 있는 다른 사업장도 유지가 어려울 전망이다. 이지스와 태영이 함께 추진하는 사업장은 성수동 외 ▲서초동 백암빌딩 개발사업 ▲서울 마곡지구 초대형 업무·상업 복합시설 조성 ▲세운5구역 재개발 등이 있다. 입지가 뛰어나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이들 사업도 중단될 가능성이 나온다. 

특히 서울 강서구 마곡동 일원 3만 9050㎡ 부지에 연면적 46만 3543㎡의 건물을 짓는 마곡CP4개발사업은 총 사업비 1조6803억원으로 태영건설의 가장 큰 사업장이다. 채권단은 '살릴' 사업과 '죽일'사업을 고른 상태지만 태영건설의 우량 사업장이 매각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처럼 알짜 사업장은 상당수 매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태영건설은 사업 위축으로 경영정상화를 이뤄내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밖에 태영건설이 주로 지방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택사업도 아직 시작되지 않은 곳은 팔릴 가능성이 높다. 다만 지방 주택사업장은 분양을 하지 않은 곳은 현 부동산 시장 상황을 봤을 때 태영건설 입장에서 매각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최근 건설사들이 인건비와 원자잿값 인상 등으로 공사비가 치솟으면서 사업 수주 자체를 꺼리고 있는 만큼 매각이 쉽게 결정되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다음 달 나올 부동산PF 구조조정 방안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업계에선 정부의 부동산PF 구조조정 방안이 사업장 헐값 매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워크아웃에 들어간 태영건설의 경우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유동성 확보를 위한 계열사를 매각하는 작업도 변수로 꼽힌다. 태영건설은 현재 알짜 계열사인 에코비트와 디아너스CC, 루나엑스CC 등 골프장 매각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향후 인수 대상자와의 가격 협상 과정에서 매각이 불발되거나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알짜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팔아 위기를 넘기려했으나 매각이 장기화되며 그룹에 부담을 준 것처럼 이들 자산 매각도 쉽지 않을 수 있다. 뚜렷한 매수자 우위 시장에서 제값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삼부토건이 2011년 경영난 타개를 위해 매각키로 한 '라마다 르네상스' 호텔 매각 사례도 있다. 삼부토건은 이 호텔을 1조원에 매물로 내놨지만 관심을 보이던 이지스자산운용, KB금융그룹, 엠디엠(MDM)이 모두 매입을 포기했고 결국 5년이 지난 2016년 VSL코리아(현 다올이앤씨)가 인수했지만 인수 가격은 6900억원으로 삼부토건이 원했던 가격에 한참 못미쳤다. 

이밖에 인력구조조정도 상당한 진통을 줄 전망이다. 지금은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당시처럼 인력 구조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외환위기, 금융위기 과정에서 숱한 건설사가 워크아웃에 들어간 바 있지만 외부 자본 유입없이 워크아웃을 성공적으로 졸업한 경우는 많지 않다"며 "결국 이 과정에서 뚜렷한 자금 유입이 없는 한 태영건설의 사세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