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국내 석유화학·정유업계가 연말 미국 대통령 선거를 주목하고 있다.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탄소중립 글로벌 기조가 흔들릴 수 있어서다. 이는 국내 주력 산업인 석유화학과 정유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된다.
뉴스핌이 22일 유튜브채널 뉴스핌TV KYD(Korea Youth Dream)를 통해 진행한 석유화학과 정유 산업 긴급 대담에서 출연자들은 올해 말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패널로 참여한 정광하 한국석유화학협회 연구조사본부장은 "바이든과 트럼프 중 누가 당선되냐에 따라 글로벌 탄소 정책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현재 석화업계에서 가장 고민 지점인 중국의 투자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진행을 맡은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실장 역시 "미국 대선은 국내 석화·정유 산업과 전혀 무관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산업 경쟁력 강화…결국 친환경으로 가야
이날 패널들은 향후 국내 석화·정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탈탄소'가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최근 유엔이 플라스틱 생산 자체를 줄이자는 협약을 준비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기본적으로 썩지 않는 특성이 있어 환경오염과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지적된다. 이에 업계에서도 재활용 등을 통해 친환경 제품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는 것이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석화산업의 경우 세계에서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이다. 국내에서는 철강에 이어 두 번째로 탄소 배출량이 많다.
정광하 본부장은 "(석화 업계에서) 현재 재활용 비중은 5% 수준이지만, 2030년 10% 중반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국내 기업도 신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재활용을 강화하는 쪽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LG화학의 경우 충남 당진에 열 분해유 공장을 짓고 있으며 올해 6월 완공이 점쳐진다.
정유업계도 세계 흐름에 맞춰 친환경 제품 생산을 추진 중이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 실장은 "정유사들도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과거에는 벙커C유를 사용했지만, 최근 LNG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해 정제 과정에서도 열효율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하면 사용되는 연료량 자체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며 "친환경 제품 생산으로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제품이 지속가능 항공유(SAF)다. SAF란 석유, 석탄 등 기존의 화석 자원이 아닌 동물성·식물성 기름, 도시 폐기물 가스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유다.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기존 항공유에 비해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현재 항공기 엔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2027년부터 SAF를 의무적으로 쓸 수 있도록 규정한다. 한발 앞서나간 유럽연합(EU)의 경우 당장 내년부터 SAF 도입이 의무화된다. 내년 유럽에서 출발하는 항공기는 SAF를 2% 혼합해 사용해야 한다. 규제는 단계적으로 강화된다. 2030년 6%, 2050년 70%까지. 관련 업계에서는 이러한 트렌드가 향후 미국, 일본 등으로 넓어질 것으로 보고 수요 증가를 예상한다.
조 실장은 "SAF 시장규모는 2021년 대비 2050년 대략 2000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4000억 달러 수준으로, 최근 국내 정유사도 친환경 항공유 생산이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됐기 때문에 여러 방면으로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뉴스핌이 유튜브채널 뉴스핌TV 'KYD'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산업과 정유산업 상황을 분석하고 미래을 검토하는 긴급 대담을 진행했다. [사진=뉴스핌TV 캡처] |
◆정부, 석화·정유 산업 지원 필요…경쟁력 강화
이날 출연자들은 국내 석화·정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정 본부장은 "최근 석화업계 불황이 많이 기사화되면서 정부에서도 지원 방안을 찾기 위해 TF를 운영하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긴 하다"면서도 "다만 정부가 기업들이 스스로 구조조정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석화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해선 친환경·고부가 제품 전환이 필요한데 최근 경기가 너무 안좋아서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며 "정부가 직접적으로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하진 못하지만, 석화업계가 친환경·고부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간접적인 방안을 많이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조 실장은 "국내 정유산업은 해외 기업인 쉘 등과 비교해 규모 차이가 상당한 게 사실이지만, 세계 원유 정제하는 설비 규모를 봤을 땐 세계 5위 수준의 경쟁력을 갖췄다"며 "국내 수출 품목에서도 항상 5위 안에 들고 있어도 정부의 세졔혜택은 해외 경쟁사에 비해 후퇴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최근 증유를 다시 재투입하는 공정이 개발됐지만, 해외와 달리 개별소비세를 부과한다"며 "증유 자체는 최종 제품이지만 다시 정제 공정으로 투입되면 개별소비세가 면제돼야 하고 실제 해외 경쟁기업들은 세금면제, 환급 등의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불합리한 제도를 우리만 갖고 있기 때문에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