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을 인상하고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노동조합 본연의 임무와 역할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용자들의 입장은 예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그러나 복수노조와 MZ세대의 등장과 플랫폼노동의 확장은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던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디지털시대를 맞아 ADR(대안적 분쟁해결)교육과 디지털 노동위원회 구축 등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고 노동현장에서도 이미 디지털 시대를 맞아 노사관계에서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과제와 전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디지털 시대, 새로운 리더 요구
조합원들은 임금과 근로조건 관련된 정보를 온라인과 네트워킹으로 노사 간부를 통하지 않고도 정부의 노동정책, 회사의 경영상태와 동종업계의 교섭현황과 동향 그리고 전망 등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공유하고 있다.
노동조합의 소수 간부들이 신념과 경험 그리고 정보를 독점하며 조직을 이끌던 시대는 데이터와 통계를 요구하는 디지털시대와 함께 저물고 현장에서는 새로운 간부상을 요구하고 있다.
먼저 바뀐 현실에 적응하며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복수노조와 디지털 시대를 맞아 전략적 구호와 노사간 갈등의 증폭만으로는 조합을 끌어갈 수 없다.
노조간에 경쟁할 수밖에 없는 복수노조 시대를 맞아 국내 굴지의 대기업인 모회사에는 양노총 소속 노동조합뿐 아니라 기업노조 등 5개의 노동조합이 있다. 생산직과 사무관리직의 요구가 다르다. 연공을 중시하는 기성세대와 성과를 중시하는 MZ세대 조합원 간의 요구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갈등은 어떻게 조정하고 풀 것인지? 분화된 각각의 조합원을 대변하는 노동조합 간에 어떻게 연대해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여 임금과 근로조건 고용안정을 이룰 것인지를 변화되는 정세에 맞게 고민하고 실천하는 간부를 현장에서는 필요로 한다.
◆ 쌍방향 의사소통이 중요
디지털시대의 노동조합은 현장 조합원과의 일상적 소통, 디지털 소통에 대한 지식과 열린 마음이 있어야 한다. 노동조합 건설단계에서부터 조합원들은 사용자들에 대한 불만뿐만 아니라 노동조합 조직자로서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종이 인쇄물을 돌리며 홍보하고 소수 몇몇이 회사의 눈을 피해 기습적이고 선도적으로 노동조합을 건설 하던 방식에서 SNS와 사내 메신저까지 이용하며 수평적이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노동조합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회사의 간섭과 통제에서 벗어나 공공연하게 노동조합을 건설하고 있는 것이다. 소셜미디어에서는 회사에 대한 요구와 불만도 생산되고 유통되지만, 노동조합에 대한 요구와 불만도 마찬가지로 생산되고 유통된다. 실시간으로 일방적이 아니라 쌍방적으로 조합원들과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 교섭과 협상의 변화 필요
디지털시대에서는 협력과 개방적인 대화의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노사가 개방적인 대화를 통해 서로 존중할 때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노사관계와 노동조합 활동이 가능하다.
노동조합 내부의 정보 소통과 공유과정이 바뀌고 있듯이 사용자 회사와 노동조합 사이의 정보 소통과 공유과정이 개방적 민주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막연하게 회사가 어렵다거나 위기가 닥쳐오고 있으니, 허리띠를 졸라매자는 등의 구태의연한 방식으로는 디지털시대에서 더 이상 노동자들을 설득하기가 어렵다. 정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개방적인 대화와 협력으로 노사가 머리를 맞대야 상호 협력할 수 있다.
사용자 회사의 태도와 자세가 바뀌기 위해서는 노동조합도 대화와 협력의 자세가 필수적이다. 먼저 조합원들의 요구를 왜곡하지 말고 잘 수렴하여야 한다. 간혹 현장과 동떨어진 간부들 중심의 요구를 들고 교섭에서 갈등의 수위를 올리는 경우가 있다.
디지털시대에서 교섭상황은 실시간으로 현장에 알려지기 마련이고 조합원들의 요구와 동떨어진 요구와 교섭은 노동조합 지도부에 대한 불신과 갈등으로 번지고 결국 노동조합이 조직분규를 겪는 것을 왕왕 볼 수 있다.
현장의 요구를 중심에 놓고 교섭과 대화를 할 때 노사 상생뿐 아니라 노동조합 단결력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제언
노동계의 시각으로 보면 아직 부족한 점이 있겠지만 ILO 기본협약 비준으로 이제는 우리나라 노사관계도 국제기준에 편입되었다. 디지털 시대의 노사관계는 세계화 글로벌화다.
사회적 약자로서의 노동자가 아니라 책임 있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경영의 한 축으로 일자리와 근로조건의 개선에 자기 역할을 다할 때 노동조합도 지속성 영속성을 가질 수 있다.
글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이시욱(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외협력실장)
※ [슬기로운 직장생활]은 <뉴스핌>이 중앙노동위원회와 제휴를 맺고 위원회가 분기별로 발간하는 계간지 <조정과 심판>에 담긴 직장생활 노하우 주요내용을 연재하는 기사입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