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기고] '0시 축제'의 시작은 대전역에서부터!

기사등록 : 2024-08-03 12:0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한국철도(코레일) 대전역장 임인순

"잘 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 떠나가는 새벽 열차 대전발 영시 오십 분~"

1959년에 발표된 가수 안정애님의 '대전 부르스'. 대전을 대표하는 노래이다.

50년대 대전역에서 새벽열차로 연인을 떠나보내는 애틋한 심정이 뭉클하다. 보낼수 밖에 없던 것이 연인일까 열차일까 속절없는 시간일까. 그시절 시대적 감성과 우리네 삶을 관통했던 옛 열차의 추억이 아련하다.

'대전부르스'는 가왕 조용필을 비롯한 여러 가수가 리메이크했다. 이 노래의 작사가인 최치수님은 한때 철도원이었다고 한다. 1963년에는 당대 최고의 배우 최무룡, 엄앵란, 신성일이 출연한 '대전발 0시 50분' 영화로 다시 대중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실제 자료를 확인해 보면 '대전발 0시 50분' 새벽열차는 서울에서 출발해 대전을 경유하는 목포행 급행열차였다. 서울역을 20시 45분에 출발한 이 열차는 대전역에 다음날 0시 40분에 도착한다. 그런데 왜 0시 50분일까. 기관차를 반대쪽 객차에 연결하는 데 10분이 필요했다. 기관차를 바꾼 새벽열차는 0시 50분에 대전역을 발차해 지금의 대전선을 거쳐 종착역인 목포역에 아침 8시 30분 도착한다.

당시 서울에서 출발하는 목포행 열차는 서대전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대전역에서 이와같이 기관차를 바꾸는 작업을 거쳐 운행했다. '서울발'이 아닌 '대전발 0시 50분'인 이유다.

한국철도(코레일) 임인순 대전역장.

6.25 전쟁통에 초창기 역사(驛舍)가 소실돼 1958년 콘크리트 양식의 역사를 재건한 대전역은 일자리를 찾아 열차에 오르내리는 민초들의 고단한 삶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대전역 플랫폼 가락국수는 기관차를 바꾸는 그 짧은 시간에 그들의 허기를 간단히 채워줬다.

이제 며칠 후면 두번째 '대전 0시 축제'가 열린다. 8월 9일부터 17일(9일간)까지다. 지난해 방문객은 약 110만명. 대전역 앞 중앙로를 중심으로 축제가 진행되고 올해는 더 많은 방문객이 올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대전 0시 축제'의 근간은 '대전발 0시 50분 열차'이다.

대전시가 철도의 도시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1905년 경부선 대전역과 함께 대전이 시작됐고 철도와 함께 현재의 광역시로 성장했다.

50년대 그 어려웠던 시절, 대전역을 중심으로 생겨난 칼국수·두부두루치기 식당, 그리고 빵집 등은 추억 속에만 있는게 아니다. 이러한 추억들이 하나 둘 알려지면서 최근 대전은 노잼에서 가장 핫한 꿀잼도시로 재탄생하고 있다.

이러한 철도의 서사는 대전의 큰 밑천이 되어 '0시 축제'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 있다.

대전역은 '대전 0시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대전시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역 맞이방에 축제를 알리는 캘리그라피 전시, 이벤트 포토존, 조형물 및 팔도장터관광 임시열차 운행 등 이번 축제의 성공과 열기를 확산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국의 지자체들이 수없이 많은 축제를 열고 있다. '대전 0시 축제'가 그런 수많은 축제 중의 하나가 아닌 이유는 자명하다. 지역 정서를 아우르는 공감이 있고 추억의 나눔이 있고, 무엇보다 현재를 공유하고 있다.

민생과 지역을 이어주고 먹거리를 나눴던 철도의 도시 대전은 이제 '0시 축제'로 민심을 잇는 시간 여행을 떠난다. 추억을 공유하고 재미를 느끼며 희망을 확인하는 여행이다.

이렇게 '0시 축제'는 대전역에서 시작된다.

2024.08.03

한국철도(코레일) 대전역장 임인순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