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아부다비 국부펀드는 왜 '럭셔리의 끝판왕' 소더비 지분을 인수했을까

기사등록 : 2024-08-13 22:0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신사업 찾는 아부다비 펀드의 '다각화 전략'
투자자 물색하던 예술품경매사의 제안 수락
카타르 펀드도 한때 크리스티에 큰 관심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아부다비(UAE) 국부펀드가 세계 정상의 미술품경매사인 소더비의 지분 일부를 인수했다. 아부다비의 자산펀드인 ADQ는 "소더비 경매회사에 10억달러(한화 약 1조37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 재정 투입을 통해 ADQ는 글로벌 경매사 소더비의 소수 지분을 확보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영란 미술전문기자=윌렘 드 쿠닝의 페인팅 등이 판매되고 있는 소더비의 이브닝세일 경매 현장. [사진=소더비] 2024.08.13 art29@newspim.com

지금껏 에너지, 유틸리티, 식품및 농업, 헬스케어 등에 투자해왔던 아부다비의 국부펀드가 예술품 경매회사의 지분을 일부 취득하자 세계 미술시장 전문가들은 예의 주시하고 있다. 그동안 '올드 마스터'로 불리는 서양의 근대 걸작 미술품을 비롯해, 고가의 미술품들을 턱턱 사들였던 중동의 실력자들이 이제는 낙찰자에 그치지 않고, 경매사 주주로 나서며 '오너십에도 눈독을 들이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소더비 지배주주의 상황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아부다비 국부펀드의 투자는 소더비 주인장의 간곡한 요청에 응한 측면이 크다.

◆소더비 인수한 프랑스 억만장자, 부채누적에 골머리

소더비를 아직도 영국 기업으로, 또는 미국 기업으로 알고 있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지금은 프랑스의 억만장자가 소유하고 있는 프랑스 기업이다. 물론 글로벌 기업인 것은 확실하나 오너는 프랑스인이다.

소더비는 1744년 영국 런던에서 사무엘 베이커가 고서를 거래하는 작은 경매사로 시작됐다. 영국 기업으로 출발한 소더비는 고서및 희귀서적 판매에 집중하다가 1917년부터 예술품및 앤틱, 보석 경매에 치중하며 승승장구하기 시작했다. 1955년에는 뉴욕에 지점을 개설했고, 이후 글로벌 1위 경매사로 급성장했다.

1983년에는 폴란드계(유대인) 미국인 사업가로 쇼핑몰사업을 하던 알프레드 타우브먼이 인수해 미국 기업이 됐다. 그러나 2019년 들어 프랑스계 유대인인 패트릭 드라히가 37억달러(당시 환율기준 약 4조4000억원)에 인수하며 프랑스 기업으로 바뀌었다. 드라히 회장의 인수 후 상장사가 아닌 비상장기업으로 전환됐다.

드라히 회장은 소더비 인수 후 "소더비 본사를 뉴욕에서 프랑스 파리로 옮기겠다"고 천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뉴욕과 런던이야말로 미술품 경매시장의 '핵심 중의 핵심'이어서 가장 고가의, 가장 화제가 되는 작품은 뉴욕 메이저세일에 오르게 마련이다. 현재 소더비는 뉴욕 런던 파리 홍콩 제네바 취리히 밀라노 본(브루고뉴) 싱가포르 등에 지사를 두고 예술품, 앤틱, 와인, 악기, 보석, 럭셔리 아이템의 경매를 실시 중이다.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1744년 창업해 올해 280주년을 맞은 소더비의 푸른색 깃발. 경쟁사인 크리스티는 빨간색을 고유 컬러로 쓰고 있다. [사진=소더비] 2024.08.13 art29@newspim.com

   

그런데 프랑스 부호순위 2위의 억만장자로 통신대기업 알티스(Altice)의 창업자인 드라히는 최근 부채가 600억달러에 달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저금리 시대에 미디어및 통신기업을 거침없이 M&A하며 기업의 덩치를 키운 드라히는 급기야 2019년 6월에는 경매기업 소더비까지 인수하며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근래들어 그룹의 부채가 누적되며 난관에 봉착했다. ADQ의 이번 투자는 따라서 패트릭 드라히의 미디어및 통신제국을 관리하기 위한 숨가쁜 노력의 일환으로 보는 게 맞다.

◆중동의 오일머니, 사업다각화 위해 예술품 경매에도 손 뻗쳐

아부다비에서 세번째로 큰 국부펀드인 ADQ는 2018년에 설립돼 에너지, 전력시설및 수자원시설, 식품과 농업,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투자해왔다. 그리곤 마침내 '럭셔리 중의 럭셔리'라 할 수 있는 예술품 경매사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게 됐다.

이 펀드의 하마드 알 함마디 부그룹 CEO는 "우리의 투자는 소더비 브랜드의 지속적인 가치와 예술품 유통시장을 선도하는 플랫폼, 성장의제를 실행하는 경영진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에 기반했다"며 소더비에 대한 신뢰를 표명했다. 이로써 중동의 국부펀드는 예술품과 럭셔리 분야로 투자처를 확장하게 됐다. 

ADQ는 이번 투자가 아부다비의 경제다각화 정책에 따라 이뤄졌다고 밝혔다. 알 하마디 대표는 "ADQ는 아부다비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기회를 줄곧 물색해왔다"며 향후 예술품·럭셔리 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섹터로의 투자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중동 국부펀드의 예술품·럭셔리 부문에 대한 투자와 입질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카타르투자청(QIA) 역시 지난해 지분인수를 위해 소더비와 협상에 나선 바 있다. 그러나 논의로만 그쳤다. 카타르는 10년 전에는 '중동의 문화예술 핵심코어'를 표방하며 '우리는 세계 1위 경매회사 크리스티에 관심이 크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리야드를 '아랍의 미래 럭셔리 수도'로 띄우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우디 국부펀드 PIF는 영국의 명품백화점 셀프리지스를 40억파운드(약 6조9700억원)에 인수해 글로벌 럭셔리 유통에 이미 진출했다.

◆280년 역사의 소더비, 라이벌 크리스티의 아성 무너뜨릴까

애당초 고서및 희귀서적 판매로 시작한 소더비는 1917년 런던의 예술중심지 메이페어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무렵부터 예술품과 값비싼 보석 등의 판매에 치중하며 세계 정상의 기업으로 뻗어나갔다. 그리고 결정적인 계기는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서다. 뉴욕 지점에서 가장 핵심인 '메이저 경매' '특별한 컬렉션 경매' 등을 열며 세계 정상의 예술품 경매사로 자리잡았다.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홍콩 도심에 새로 사옥을 만들고, 이전한 소더비 홍콩 지점. 벨기에의 대표작가 르네 마그리트의 최고 걸작 '빛의 제국'을 사옥 휘장막에 프린트해 넣어 오가는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사진=소더비] 2024.08.13 art29@newspim.com

오랫동안 영국풍의 신중한 기업문화를 중시하던 소더비는 1960년대부터는 미술품 경매를 '고급스럽고 우아한 사교행사'로 각인시키며 미국 상류층의 문화를 확실히 도입했다. 유명스타 등 셀럽을 끌어들이며 경매장을 더욱 성대하고 화려한 특급 살롱으로 변환시킨 것.

경쟁사인 크리스티와 오랫동안 1,2위를 다투던 소더비는 2010년대 들어 크리스티가 살바토르 문디, 록펠러 컬렉션 등 톱클래스 경매를 유치하자 정상의 자리를 자주 내주었다. 한편 코로나 팬데믹 이후 양대 경매사는 매출과 실적이 다소 소강상태에 빠져 있다.

최근들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소더비의 드라히 회장이 아부다비 국부펀드 투자를 받아내 오너로서의 입지는 일단 다진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드리워진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과 경기침체로 인해 미술품 경매시장도 변수가 많고,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래저래 올하반기와 내년도 소더비의 성적표에 미술계의 귀추가 모아지고 있다.

 art29@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