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오는 2030년 서울 김포공항 일대에 UAM 이착륙장과 복합환승시설이 준공돼 본격 'UAM(도심항공교통) 시대'가 열린다.
김포공항은 여객·물류 이동 등 공항 기능 강화와 함께 미래 첨단산업 클러스터가 확충돼 도쿄 '하네다공항'·싱가포르 '창이공항'과 같은 공항 중심의 신(新) 산업·경제 거점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서울시는 강서구 공항동 김포공항 일대(35.4만㎡)가 9일 '김포공항 혁신지구'로 지정 고시됨에 따라 미래 교통허브·모빌리티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활력 도시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사업비 투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사업시행자인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1블록 개발 후 UAM 이착륙장 등 복합환승시설 조감도 [사진=서울시] |
혁신지구 개발이 마무리되는 2033년 이후 김포공항은 UAM 이착륙장·S-BRT(간선급행버스) 등 신규 복합환승시설과 기존 도심공항 인프라가 연계된 혁신 신산업 허브로 변모, 3만여 개의 일자리와 약 4조원에 이르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포공항 혁신지구(국토교통부 지정 고시)는 앞으로 ▲국·시비 100억원 ▲한국공항공사 등 공공 490억원 ▲민간 2조9050억원 등 총 사업비 2조9640억원이 투입돼 UAM·S-BRT·도시철도 등 미래교통·모빌리티 첨단산업 기지로 거듭난다.
지하 4층~지상 8층 규모 복합시설로 조성되는 '김포공항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전체 면적 35만㎡에 3개 블록이 조성된다. ▲1블록에는 UAM 등 이착륙장·복합환승시설이 들어서고 ▲2블록은 항공업무시설 ▲3블록은 첨단산업시설 중심으로 조성된다.
시는 공항과 연계된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발생한 개발이익을 지역에 재투자해 공공·체육·보육시설 등 지역에 부족한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일자리를 창출, 그동안 항공소음 피해·건축규제 등으로 소외됐던 지역과의 상생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시는 배후지원단지 노후로 침체된 김포공항 주변에 첨단산업 클러스터,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등이 확충되면 '김포공항 혁신지구'가 보존과 개발이 공존하는 '2세대 도시재생'의 대표 사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포공항 혁신지구' 1블록은 2030년, 2·3블록은 2033년 준공을 목표로 내년도 혁신지구 기본계획 수립하고 2026년 건축설계, 2027년 사업 시행계획 인가를 받아 순차적으로 착공에 들어간다.
시는 혁신지구 지정으로 본격적인 김포공항 일대 개발을 위한 동력이 확보됐을 뿐 아니라 국토부의 공간혁신구역 후보지, 일명 '화이트존'에도 선정되면서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해진 만큼 사업추진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원 균형발전본부장은 "그간 공항시설로 인해 개발 제한, 주변 지역과의 단절 등을 겪었던 김포공항 인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발이익 환원을 이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김포공항 일대가 미래교통 허브이자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활력 도시로 재탄생하도록 사업을 힘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