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전공의 사직 여파로 응급실 가동률 50% 감소…의료공백 심각

기사등록 : 2024-09-10 14: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PA간호사 등으로 94% 의료기관 24시간 응급실 운영 유지
보건의료노조 "전공의들 조속히 치료현장으로 돌아와야"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최근 조사 결과 50%가 넘는 의료기관들의 응급실 가동률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응급실 의료공백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한 기관들은 64.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민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의료기관 대부분의 응급실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65곳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응급실 운영실태를 조사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응답 의료기관은 국립대병원 7곳, 사립대병원 23곳, 지방의료원 14곳, 특수목적공공병원 10곳, 민간중소병원 7곳, 기타 4곳이다.

응답 결과 9월 현재 응급실(응급의료센터) 가동률이 지난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전에 비해 떨어진 곳은 모두 33곳(50.7%)이었다. 구체적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고 응답한 곳이 10곳(15.3%), 51%~80% 수준으로 떨어진 곳이 20곳(30.7%), 81% 이상 가동되고 있는 곳은 3곳(4.6%)이었다. 큰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곳은 26곳(40.0%)이었고, 가동률이 더 높아졌다고 응답한 곳은 6곳(9.2%)이었다.

의사 부족과 의사 사직 등으로 응급실(응급의료센터) 의료공백이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발생하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모두 42곳(64.6%)이었다. 이 중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은 18곳(27.7%), '약간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은 24곳(36.9%)이었다.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24곳(36.9%)으로 '발생하지 않는 편이다'가 4곳(6.1%),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있다'가 19곳(29.2%)이었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비상진료체계가 어떻게 가동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는 36곳(55.3%)이 '겨우겨우 버티고 있지만 불안하다'고 응답했고, 26곳(40.0%)이 '원활하게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너지기 직전이고 더 오래 버틸 수 없는 지경이다'고 응답한 곳은 3곳(4.6%)이었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1일 운영시간을 묻는 질문에 '매일 운영한다'고 응답한 곳은 61곳(93.8%)이었고, '매일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4곳(6.1%)이었다. 또한, 응급실(응급의료센터) 1일 운영시간 축소 상황을 묻는 질문에 '축소 운영하지 않고 24시간 운영한다'는 응답이 61곳(93.8%), '16시간 이상~24시간 미만 운영한다'는 응답과 '8시간 이상~16시간 미만 운영한다'는 응답이 각각 2곳(3.0%)이었다.

9월 현재 응급의학과 의사수가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전보다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12명으로 18명의 의사 중 6명만 남았다. 그 다음 응급의학과 의사수가 줄어든 곳은 11명(2곳), 10명(3곳), 9명(1곳), 8명(2곳), 7명(6곳) 순이었다. 반면,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후 9월 현재 응급의학과 및 응급실에 PA 간호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13명이었고, 12명(1곳), 10명(1곳), 9명(1곳), 8명(1곳), 7명(3곳), 6명(6곳), 5명(7곳) 순이었다. PA 간호사 외 진료지원인력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48명이었고, 35명, 25명, 20명, 13명 등이 뒤를 이었다.

보건의료노조는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응급의학과의 의사 수는 줄었지만, 응급실을 지키고 있는 전문의들과 늘어난 PA간호사·진료지원인력들이 응급실 의료공백을 메우고 있다"며 "94% 의료기관이 응급실을 축소 운영하지 않고 매일 24시간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응급실을 박차고 나간 전공의들이 더 이상 응급실 파행을 방치하지 말고 국민생명을 살리기 위해 조속히 응급환자 치료현장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할 것을 권고했다.

calebca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