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0-02 08:50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6%를 기록하면서 3년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도 1.8%로 나타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상승 폭이 축소되고 있다.
다만 배추와 무 가격이 각각 53.6%, 41.6% 급등하면서 채소류 물가 상승률이 11.5%를 기록했다. 이란과 이스라엘의 전쟁이 확산하면 석유류 가격 상승도 예고된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5(2020=100)로 1년 전보다 1.6% 상승했다(그래프 참고).소비자물가는 지난 2021년 2월(1.4%) 이후로 3년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가 1%대를 기록한 건 지난 2022년 3월(1.9%) 이후 3년6개월만이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2.3% 오르면서 전체 물가에 0.18%포인트(p) 영향을 미쳤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전월 대비 2.8%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올랐다. 같은 기간 공공서비스 물가는 1.3%, 개인 서비스 물가는 2.9% 각각 상승했다.
석유류 물가는 1년 전보다 7.6% 하락하며 물가 기여도가 전월보다 0.16%포인트 축소됐다. 석유류 물가는 7개월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
그러나 지난 1일(현지시간) 이란이 이스라엘 본토를 향해 대규모 탄도미사일 공격을 단행하면서 국제유가가 한때 4%까지 치솟으면서 국내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는 작년 기저효과가 있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체감물가에 가장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5%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채소가 11.6% 오른 영향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특히 배추와 무 가격은 전년 대비 각각 53.6%, 41.6% 급등하며 높은 가격 오름세를 보였다. 상추, 풋고추 가격도 같은 기간 각각 31.5%, 27.1% 올랐다.
채소류 물가는 1년 전보다 11.5%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0.19%포인트 끌어 올렸다.
반면 신선과실은 전월 대비 7.0%, 전년 대비 2.9% 각각 하락했다. 올해 초부터 높은 가격을 유지했던 사과 가격은 1년 전보다 4.8% 내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월 대비 0.1%, 전년 대비 1.8% 각각 올랐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채소류 물가가 높은 상황"이라면서도 "신선식품지수 자체는 아주 높은 수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