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성공으로 중국 자산의 '관세 리스크'가 커지면서 아시아 3대 주식시장(일본·중국·인도)의 단기 자금 흐름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경기 회복을 기대하며 중국 증시로 눈을 돌렸던 글로벌 자금이 트럼프 반중 정책의 영향을 받아 일본과 인도로 향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 기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60%로 인상하고,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간스탠리는 "중국보다 인도 및 일본 주식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제조업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인도는 내수 중심의 경제를 바탕으로 글로벌 리스크에 면역력을 가지고 있다"며 "일본 증시는 트럼프의 '리플레이션 정책(경기 부양책)'의 간접적인 수혜국으로 여겨진다"고 기관은 설명했다.
트럼프가 세금 감면과 재정 지출 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하면 물가 상승 압박이 커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높일 수 있고, 미국 금리 상승에 따라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엔화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띠면서 일본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
신흥시장 전문 투자자로 알려진 마크 모비우스 템플턴자산운용 이머징마켓 그룹 회장은 "공급망이 중국에서 멀어지고 있고 이는 일본과 인도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 특히 동남아에 도움이 된다"며 "그러나 중국의 인건비에 견줄 수 있는 것은 인도의 노동력뿐이기 때문에 인도가 최대 수혜국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직전 거래일인 6일 아시아 증시 움직임은 앞으로의 상황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이날 트럼프의 재선이 확실시 되면서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일본 지수와 인도 지수는 각각 1.5% 이상 상승한 반면, 중국 지수는 2% 이상 급락했다.
트럼프의 '관세 리스크'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내일 종료 예정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회의에서 대규모 부양책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트럼프의 당선이 부양 효과를 약화할 수 있고, 이 경우 실망한 글로벌 투자자들이 다시금 중국 증시를 이탈할 수 있다.
모닝스타의 로레인 탄, 카이 왕 애널리스트는 "중국 정부가 내놓을 새로운 부양책이 예상보다 약할 경우 투자자들의 관심은 일본 증시로 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모간스탠리 전략가들 역시 "미국 공화당의 중국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추진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의 성장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며 "관세 리스크가 전인대 상무위원회 회의 뒤 발표될 잠재적 부양 조치의 순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일본 비중 확대 및 중국 비중 축소 의견과 함께 호주와 인도에 대한 선호도를 재차 강조한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 9월 말부터 통화 정책 완화 및 부동산 규제 철회 등의 부양 조치를 잇달아 취하면서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중국 증시 상승으로 이어졌다. 지난달 한달 간 인도 증시에서 100억 달러(약 14조원)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고, 이 중 상당 부분이 중국 증시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는 "중국 증시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이미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었다"며 "인상적인 재정 지출 계획이 발표되지 않으면서 통화 정책 완화로 촉발된 랠리가 꺾였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CSI300지수는 9월 중순의 저점에서 지난달 8일까지 약 35% 급등했으나 이후 트럼프 재선 뒤 관세 리스크가 점쳐지면서 10월 말까지 9%가량 하락했다.
다만 일본과 인도 증시 역시 해결 과제를 안고 있다. 일본의 경우 과도한 환율 변동성이, 인도의 경우 경제 및 기업 수익 성장세 둔화가 증시 랠리의 방해 요인으로 꼽힌다.
엠케이 글로벌 파이낸셜 서비스의 마하비 아로라 이코노미스트는 "단기적으로는 전략적으로나 외국인 자금 흐름 측면으로나 트럼프 무역 정책이 인도에 긍정적일 수 있다"면서 "그러나 랠리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대선 승리하는 도널드 트럼프 [사진=블룸버그]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