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고려아연이 이차전지 원천 기술에 이어 전략 광물 자원인 안티모니 제련 기술과 아연 제련 독자 기술인 헤마타이트(Hematite) 공법에 대해서도 국가핵심기술 지정을 추가로 추진한다.
대규모 차입 등을 통해 고려아연 인수를 진행하고 있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향후 투자금 회수(엑시트) 전략 구상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고민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려아연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 두 건의 제련 기술에 대한 국가핵심기술 추가 지정 건의서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고려아연 그랑서울. [사진=고려아연] |
현재 국가핵심기술로 총 13개 분야에서 76개 기술 목록이 지정되어 있는데, 해당 기술 두 건에 대해 신규 지정을 요청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입 침출 기술을 활용한 황산 아연 용액 중 적철석(Hematite) 제조 기술'과 '격막 전해 기술을 활용한 안티모니 메탈 제조 기술'이다.
이번 신청에 따라 산업부는 국가핵심기술 신규 지정 수요 조사와 의견 취합, 전문 위원회 심의 등을 통해 최종 후보 기술 선정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 관련 부처 협의를 통해 신규 지정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입 침출 기술을 활용한 황산 아연 용액 중 적철석(Hematite) 제조 기술'은 아연 제련 과정에서 철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제련 과정에서 철을 제대로 회수해야 이후 공정에서 아연은 물론 구리와 카드뮴, 니켈, 코발트 등을 효율적으로 회수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격막 전해 기술을 활용한 안티모니 메탈 제조 기술'은 안티모니 금속 제조 과정에서 대기 오염 물질 배출을 줄이고 경제성과 효율성도 함께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안티모니 회수 기술은 건식 제련법을 쓰는데, 이는 불필요한 손실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고려아연의 안티모니 습식 제련 기술의 경우 효율성을 크게 높여 건식에 비해 40%의 제조 원가로 생산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앞서 산업부는 고려아연의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전구체 원천 기술을 국가핵심기술과 국가첨단전략기술로 판정한 바 있다.
정부는 반도체와 원자력, 전기전자, 로봇 등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아 해외로 유출될 경우 국가 안보 및 국민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한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면 해당 기술을 기관이나 기업은 법률에 따라 보호 조치를 실시해야 하고, 해당 기술을 수출하거나 해외 인수합병, 합작 투자 등 외국인 투자를 진행하려는 경우에는 산업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고려아연은 정부 승인 없이는 해외에 매각할 수 없게 되었다.
시장에서는 이런 영향으로 고려아연에 대한 M&A를 시도하고 있는 MBK와 영풍이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시가총액 20조 원에 육박하는 고려아연의 몸집을 고려했을 때 국내에서는 인수를 시도할 기업이 없다는 점에서 해외 매각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국가핵심기술 지정으로 이마저 불가능해진 탓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MBK·영풍 측이 해당 기술을 제외한 사업이나 계열사, 자산 등을 분할하는 등의 우회적인 방안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하다.
이차전지 소재 제조 기술과 아연 제련 기술, 안티모니 제련 기술 등 각각의 사업에 모두 국가핵심기술이 있을 경우 매각 셈법이 매우 복잡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MBK와 영풍의 주주 간 계약(콜옵션 등)으로 각종 환경 오염과 중대 재해 등에 휩싸인 영풍이 고려아연의 지분을 MBK로부터 다시 넘겨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고려아연은 신청서를 통해 "방위 산업과 첨단 기술 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희소 금속인 안티모니의 특성과 중국의 안티모니 전략 자원화 정책 등을 감안할 때 해당 기술의 해외 유출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며 "고려아연의 기술을 통한 안티모니의 국내 생산이 국가 안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imsh@newspim.com